[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

 1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1
 2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2
 3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3
 4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4
 5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5
 6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6
 7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7
 8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8
 9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방언] 함경남도 방언의 특징과 조사항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연구사 개관
1)해방전의 함경도 방언연구
2)해방이후의 함경도 방언연구

1)음운연구

1.1)성조연구

2)형태 및 통사적 연구

2.함경도 방언의 특징
1. 음운 특징
(1) 모음 체계
(2) 이중모음
(3) 운소체계
(4)음운의 변화와 변동

2. 형태론적 특징
(1) 정칙 활용
(2) 단독형 명사에 ‘이’가 결합되는 현상
(3) 피사동사 형성 접사 : ‘-기-’, ‘-구-’, ‘-우-’
3. 문법 형태 및 통사적 특징

(1) 격조사 및 보조사

(2) 어미

(3) 통사적 특징

4. 어휘적 특징


◎참고논저


본문내용
1)음운연구
북한 방언 연구에서 음운 연구는 특이하다.
첫째는 문화어와의 대응에 의한 기술이다. 문화어는 최대 10모음체계를 갖는 것으로 상정하고 이 10모음 하나 하나를 방언과 대비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음운’과 ‘음성’의 구분이 명쾌하지 않다.
셋째로 통시적 변화와 공시적 변동을 구분하지 않는다.
넷째는 선행자음과의 통합관계에 의한 변화를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섯째는 ‘함남’, ‘륙진’과 같이 대방언권을 대상으로 하여 기술한다는 점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음운 규칙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모음이 생겨난다는 식으로 기술한다는 점이다. 가령, ‘외’가 [we]또는 [wɛ]로 발음되는 함경도 방언에서 움라우트 현상에 의하여 (/ㅇ→ö/)[ö]가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괴기(魚))이는 남한의 학자들이 음운현상을 음운체계와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이해하려는 태도와는 다른 것이다. 그리고 문화어 보급에 의하여 새로운 모음이 생겨남으로써 모음체계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
한편, 황대화(1986)에서는 함남과 함북에서는 ‘외’가 ‘왜’로 발음된다고 하였지만, 함남 북청 방언을 다룬 Ramsey(1978:28-29, 58-59), 이기동(1987:18-19)에서는 10모음체계를 상정하고 있어 북한 학자들의 보고와 일치하지 않는다. 정용호(1988:80-87)는 고유어와 한자어에서 ‘외’와 ‘위’는 각각 [ɛ],[i]로 발음된다고 하고, 다만 움라우트 현상(예, 고기>괴기)와 주격어미 ‘-이’가 어간에 결합된 경우 (예, 황소>황쇠)그리고 ‘ㅛ>ㅚ’의 변화 (예, 교섭>괴섭)에서만 단모음 [ö]로 실현된다고 하였다.
함경도의 개별 방언의 음운현상을 다룬 논문은 정용호(1959)가 최초의 것이다. 이 논문은 함경남도 북청-덕성군의 방언에서 보여지는 ‘이’모음에 의한 음운현상, 즉 구개음화와 ‘이’가 체언의 개음절 어간에 고착되는 형상(예, 치마>치매, 식구>식귀, 모자>모재 등), 그리고 ‘이’모음에 의한 역행동화 현상(움라우트)을 다루었다.

1.1)성조연구
함경도 방언의 성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함경남도 북청방언의 악센트를 연구한 Ramsey(1974)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Ramsey는 북청방언의 악센트를 고저 악센트로 파악하고 이 악센트가 15세기 중앙어의 성조와 그 대응에 있어서 규칙적임을 밝혔다.
참고문헌
곽충구(1992), 咸鏡道 方言 硏究의 전개 과정과 그 전망, 남북한의 방언 연구(김영배 선생 회갑 기념 논총), 경운출판사
곽충구(1998), 동북 방언, 새국어생활 8-4, 국립국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