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

 1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1
 2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2
 3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3
 4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4
 5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유교이데올로기- 유교와종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자학 - 세계평화를 지키려는 성인군자(聖人君子)
2. 양명학 - 세계평화를 지키게 된 광인(狂人)
3. 주자학과 양명학 비교
4. 봉건 중국과 현대 중국에서 ‘유교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작용했는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보고서를 쓰기에 앞서 ‘유교(儒敎)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답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교’는 유가(儒家), 유학(儒學), 유교(儒敎)라는 세 개의 명칭으로 명확한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명칭에 대한 정의를 임의적으로라도 간단,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유가(儒家)는 대표적인 예로써 공자와 그의 72인 제자와 같은 하나의 유학자 집단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고, 유학(儒學)은 학문적인 영역의 개념으로 보고자 한다. 끝으로 유교(儒敎)는 더 이상 지식인에 의해서만 향유되는 한계에서 벗어나 그 철학이 민간의 일상에 녹아내린 경우로 보겠다.
여기서는 일단 ‘유가(儒家)’에 대한 논의는 제외하도록 하겠는데, 이 보고서의 주제와 맞닿아있다고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에 학문적인 영역의 유학(儒學)과 민간의 일상에 녹아든 유교(儒敎)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보도록 하겠다. 만약 두 가지 측면의 성격이 겹칠 경우에는 보고서 주제에 따라 ‘유교’라는 명칭으로 통일해서 사용할 것이다. 두 가지 측면만을 집중적으로 보는 이유는 유교 지식인을 바라보는 논자의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논자는 유교 지식인이라는 존재를 사회의 변화된 요구를 가장 느리게 감지하면서도 일단 감지하면 가장 빨리 그 변화를 알려주고 반영하려는 존재로 여긴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에도, 유교 지식인들은 어떠한 사회의 변화된 요구에 대해서 가장 느리게 감지한다. 하지만 그 변화된 요구를 가장 빠르게 현실에 반영하는 것은 지식인이다. 최소한 명말 청초의 유교 이데올로기를 형성, 양산 시켰던 특정 유교 지식인들에게는 명확히 적용 가능할 것이다.
20세기 현대 중국에서 ‘유교’는 ‘근대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비판 받았고, 사라져야할 이데올로기로 비춰졌다. ‘공자(孔子)’는 ‘성인(聖人)’의 지위에서 영원히 추락하는 듯 보였고, 다시는 회복되지 못할 것처럼 보였
참고문헌
미조구찌 유조 지음,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1999.
____________ 외 지음, 동국대 동양사 연구실 옮김, 『중국의 예치 시스템』, 청계, 2001.
아마코 사토시 지음, 임성범 역, 『중화인민공화국 50년사』, 일조각, 2003.
사중명 지음, 『유학과 현대세계』, 서광사, 1998.
시마다 겐지 지음, 김석근 옮김, 『주자학과 양명학』, 끼치글방, 2001.
윌리엄 시어도어 드 배리 지음 , 한평수 역, 『다섯 단계의 대화로 본 동아시아 문명』, 실천문학사, 2001.
정가동, 『현대 신유학』, 예문서원, 1993.
천성림 지음, 『근대중국 사상세계의 흐름』, 신서원, 2002.
풍우란 지음, 『중국철학사』상․하, 까치글방, 1999.
황종희 지음, 김덕균 역, 『명이대방록』, 한길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