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

 1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
 2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2
 3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3
 4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4
 5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5
 6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6
 7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7
 8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8
 9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9
 10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0
 11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1
 12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2
 13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3
 14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직개발론]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본문요약


♠ 서론


• Rondell사의 연혁 및 조직 구조

• Rondell Data Corporation의 조직도

• Rondell사가 처한 문제점 요약


♠ 본론


• Rondell사의 전략과 조직설계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어떠한가?

• Rondell사의 전략은 외부환경 변화에 얼마나 잘 대응했다고 할 수 있는가?

• Du Pont 社의 전략 및 조직변경 사례

• Bill Hunt(최고경영자)와 임원회의가 Rondell사의 전략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어떻 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GE(General Electric Company) 의 CEO 잭 웰치 사례


♠ 결론


♠ 참고문헌


♠ 인용문헌 사본

본문내용
Du Pont 社의 전략 및 조직변경 사례 삼성경제연구소(www.seri.org)
경영학의 진리체계, 윤석철 저, 경문사, 2002


"듀퐁(Du Pont)회사는 1802년 미국에서 화약 제조회사로 창립했다. 화약은 터널공사, 광산 개발 등에 평화적으로도 사용되었으나 주된 용도는 군사용이었다. 군납용 수요는 전쟁 발발 여하에 따라 그 변동폭이 심했으므로 듀퐁사는 인조가죽 및 셀룰로이드 등의 분야로 제품다각화를 시도하였으나 이들 비화약 부문은 듀퐁사 매출의 3% 정도에 머물렀다. 그러나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 화약수요가 급증하면서 듀퐁사는 화약제조설비의 확장을 거듭하여(1914년 840만파운드에서) 1917년에는 연간 4억5천5백만파운드로 무려 54배로 성장했다. 듀퐁사의 최고경영진은 이와 같이 증가한 생산설비가 종전 후에는 유휴화될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 해결책으로서 화약 단일품목에서 탈피하여 다른 분야로 다각화(Diversification)를 적극 모색하게 되었다. 듀퐁사의 다각화 전략은 크게 세 방향으로 나누어졌는데, 첫째는 이미 진출한 인조가죽과 셀룰로이드 생산을 더욱 확장하는 것이고, 둘째는 당시 수요에 비해 공급부족 상태에 있던 염료(dyes) 생산에 진출하며, 셋째는 기존의 화약공정에 약간의 수정만 가하면 만들어낼 수 있는 ‘기타제품’에 손을 뻗는 것이었다. 다각화 전략을 추진한 듀퐁사는 1919년 봄에 이르러 페인트, 셀룰로이드, 인조가죽 및 ‘기타제품’의 생산체제를 확립하였고 염료와 레이온(Rayon)은 착수 단계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러한 다각화 전략은 관리조직을 혼돈 속에 빠뜨리기 시작했다. 화약단일 품목만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과거의 조직구조를 가지고, 다각화된 여러 품목의 생산, 구매, 판매, 연구개발 등 활동을 계획, 통합, 평가하자니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기 시작한 것이다. 조직구조의 부적합성으로 인한 이러한 문제점 들은 불경기로 인하여 신규 사업의 수익성이 더욱 악화되면서 표면으로 떠올랐다. 특히 듀퐁사의 페인트 사업은 판매량이 늘어날수록 손실도 증가하는 기현상마저 빚고 있는 동안에도 다른 페인트 회사들은 상당한 이익을 올리고 있어서 듀퐁사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듀퐁사는 생산, 판매, 재무, 개발 분야의 대표자들로 이루어진 ‘소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여기서 문제의 근본원인이 판매부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듀퐁사의 조직구조에 있음을 밝혀냈다. 1920년 소위원회는 기존의 직능별 조직구조를 버리고 제품별 구조로 전환할 것을 건의했다. 이것은 각 제품 라인별로 한 사람의 관리자를 두고 그에게 구매, 생산, 판매, 회계업무에 관한 모든 권한과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각 제품라인이 이익/손실의 독립단위가 되게 하려는 제안이었다. 그러나 듀퐁사의 최고경영층인 집행위원회는 ‘소위원회’의 제안에 완강히 반대하였다. 제품별 조직구조는 당시 미국의 어떤 기업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고, 그 때까지 조직이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던 직능별 조직구조와 이론적으로 정면 배치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사장이던 피에르 듀퐁 역시 직능별 ‘전문화의 원리’를 버리고 미지의 새로운 조직구조를 도입한다는 생각에 반대를 표명했다. 결국 '소위원회’의 제안에 대한 타협안으로서 듀퐁사는 각 제품라인별 구매, 생산, 판매 부문의 관계자들로 구성된 ‘사업부심의회(Divisional Council)’라는 새 조직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 조직은 완전한 자율권이 주어지지 않았고, 의장도 뽑지 않았으므로 책임소재가 분명치 않아 유명무실한 조직이 되고 말았다. 듀퐁사가 화약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계속 손실을 내는 난관에 부딪치자, 이 난관을 타개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