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

 1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1
 2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2
 3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3
 4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4
 5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5
 6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6
 7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7
 8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8
 9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영화 `국경의 남쪽`에서 나오는 북한어(문화어)에 대해 조사
  •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
  • [남북한언어, 남북한언어정책, 북한어, 남북어, 언어정책] 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책의 변화, 북한어의 형성과 방언, 북한의 언어와 문자의 양상, 통일시대 남북어의 수용, 남북한의 언어정책 제언 고찰
  • [북한어] 문화어의 어휘와 표현 방식
  • [북한언어][북한어][북한말][문화어]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주체사상과 특징,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정책변화,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문법과 문체,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 어휘, 남한언어와의 비교
  • [북한말][북한어][북한언어][문화어]북한말(북한어, 북한언어, 문화어)의 장단점, 북한말(북한어, 북한언어, 문화어) 맞춤법, 북한말(북한어, 북한언어, 문화어) 발음, 북한말(북한어, 북한언어, 문화어) 문체, 북한말(북한어, 북한언어, 문화어) 사례
  •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맞춤법, 북한언어(북한말, 문화어, 북한어)어휘, 북한언어(북한말,문화어,북한어)문화어, 북한언어 주체언어론
  •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의의와 발달,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맞춤법, 북한어(북한말, 북한언어, 문화어) 사례와 연구문제
  • [언어학] 남한어와 북한어 장단점과 통일언어에 대한 고찰
  • 북한 고등중학교 3학년, 남한 중학교 3학년 국어 교과서의 비교
  • 소개글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특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맞춤법,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표준어(문화어),통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역사

    Ⅱ.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정의

    Ⅲ.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특징

    Ⅳ.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맞춤법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2. 두음법칙
    3. [ㅔ]로 소리나는 ‘ㅖ’
    4. ‘이오, 아니오, -시오 ’등

    Ⅴ.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표준어(문화어)
    1. 문화어발음법
    1) 소리의 길이와 높낮이
    2) 한자말의 ‘ㄴ’, ‘ㄹ’ 소리
    3) ‘ㄼ’ 받침의 발음
    2. 표준 어휘
    1) 표준어를 바꾼 문화어
    2) 다듬은 말
    3. 차이 나는 뜻바탕
    4. 외래어

    Ⅵ. 북한어(북한언어)와 통일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역사

    북한공산당은 문맹퇴치 (文盲退治)를 위하여 처음부터 한글 전용을 과감하게 실천하였다. 초기는 일제시대 주시경의 제자들이 만든 을 그대로 썼다. 그러나 1948년에 이르러 북한이 조선어학회 맞춤법을 비판하고 그들 나름의 새로운 맞춤법을 만들어 이 공포됨에 따라 남북한 사이에 언어규범의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그들은 ‘로동당 , 뇨소’와 같이 말 첫머리의 ‘ㄹ’ 과 ‘ㄴ’을 발음하도록 규정하였고, ‘깃발 ’ 처럼 합성어에 된소리가 나는 것은 ‘기´발’과 같이 사이표(´)를 쓰고 불규칙 활용에 나타나는 음운교체를 표시하기 위하여 신자모 6자를 창안하였다. 이 신철자법은 김두봉과 월북한 김수경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6자모는 1958년 김두봉의 숙청을 계기로 하여 혹독한 비판을 받게 된다. 북한은 그 뒤에도 세 번이나 맞춤법을 바꾸었다. 더욱이 1960년대 중반에 들어와서는 전통적인 서울 중심의 표준어를 버리고 그들의 수도인 평양의 언어에 근거를 둔 ‘문화어’를 표방하여 한반도의 공용어가 결과적으로 둘로 나뉘게 되었다. 이와 함께 북쪽은 ‘문화어 운동’을 광범위하게 실천하여 고유어에 바탕을 둔 우리말의 개발에 힘을 쏟았다. 북쪽은 문화어에 기반을 둔 문법과 사전을 다시 편찬하여 국어교육은 물론, 언어생활 전반을 통제하고 있다. 북쪽은 사변전에는 그들의 어문연구단체였던 조선어문연구회를 중심으로 언어문제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획․ 통제하였으며, 50년대 중반부터는 과학원의 언어학연구소와 내각내 설치된 국어사정위원회가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북쪽은 정부수립 이후부터 지금까지 언어정책의 기획과 실천에서 국가의 권력이 크게 작용하여 왔다.
    참고문헌
    ◈ 고영근 외, 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서울 : 박이정, 2004
    ◈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민수, 김정일 시대의 북한 언어
    ◈ 북한 언어 연구회, 백의 북한의 어학혁명
    ◈ 이성연, 북한 언어의 이해,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3
    ◈ 자하어문학회, 북한의 조선어학, 한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