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

 1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
 2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2
 3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3
 4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4
 5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5
 6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6
 7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7
 8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8
 9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9
 10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0
 11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1
 12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2
 13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3
 14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4
 15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기본어휘][부정문][의문문]국어 특징, 국어 기본어휘, 국어 부정문 유형, 국어 부정문 구조, 국어 의문문 유형, 국어 의문문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의 특징
1. 어휘상의 특징
1) 다량의 한자어들이 유입된 사실을 들 수 있다
2) 높임법의 발달을 들 수 있다
3) 우리말에는 감각어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
4) 상징어의 발달을 들 수 있다
2. 구문상의 특징

Ⅱ. 국어의 기본어휘

Ⅲ. 국어 부정문의 유형

Ⅳ. 국어 부정문의 구조

Ⅴ. 국어 의문문의 유형
1. 판정 의문문
2. 설명 의문문
3. 수사 의문문

Ⅵ. 국어 의문문의 특징
1. 의문어미의 상보적 분포
2. 의문어미의 중가적인 형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국어의 특징

1. 어휘상의 특징

언어는 그것을 사용하는 언중의 역사와 생활을 반영한다. 그러기에 언어를 문화의 색인이라고까지 말한다. 한 민족은 그 민족 나름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독특한 상상, 감정 및 사고 방식도 아울러 지닌다. 이들은 그대로 언어에 반영되는데, 어휘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국어의 어휘상의 특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1) 다량의 한자어들이 유입된 사실을 들 수 있다

한자는 대략 기원전 3세기경에 이 땅에 전래되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7세기경에는 이미 널리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신라 제 22대 지증왕 때와 제 35대 경덕왕 때에 각각 인명과 지명 등을 중국식 한자어로 바꾸었다. 이러한 한자어는 그 후 고려 시대에 불교, 조선 시대에 유학이 융성함에 따라, 더욱 많이 사용되었다. 그 뒤, 갑오경장 이후에는 근대화의 물결과 더불어 새로운 개념어를 많이 도입하였는데, 그것 역시 대부분이 한자어였다. 그리하여 ‘큰 사전’에 실린, 표제어 가운데 한자어가 85,525어로, 전체 단어 중에서 52.1%라는 엄청난 비율을 차지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영어의 단어들 중에서 3분의 2가 로망스계 어휘라는 사실과 흡사하다.

2) 높임법의 발달을 들 수 있다

높임법은 상하 관계를 존중하던 사회 구조의 영향으로 발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침묵은 금’이라고 하여 말을 삼가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는가 하면, 높임법과 높임말이 다음과 같이 발달하였다.

하십시오 / 하오 / 하게 / 해라
나 / 자네 / 당신 / 댁 / 제군 / 이 사람
밥 / 진지, 말 / 말씀, 이름 / 성명 / 성함 / 존함 / 함자
받다 / 받으시다, 자다 / 주무시다, 주다 / 드리다 / 올리다, 보다 / 뵙다 / 알현하다
참고문헌
○ 권재일(2002), 한국어 의문문의 실현 방법과 그 언어 유형론적 특성 -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한글 257
○ 강면윤(1994), 국어 초점/부정구문의 재탐구, 생성문법의 탐구(양동휘선생 화갑기념 논총), 한국문화사
○ 김영만(1982), 국어의 부정문에 대하여, 긍포 조규설 교수 회갑기념논총
○ 이남순(1988), 국어의 부정격과 격표지 생략, 탑출판사
○ 최학근(1964), 경상도 방언에 사용되는 종결어미, 국어국문학27
○ 황병순(1980), 국어 부정문의 통시적 고찰, 어문학40, 한국어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