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

 1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
 2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2
 3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3
 4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4
 5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5
 6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6
 7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7
 8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8
 9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9
 10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0
 11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1
 12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2
 13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3
 14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4
 15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5
 16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6
 17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7
 18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8
 19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의문장구조-현대국어통사론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와 국어문법
제1장 국어와 문법
1.1. 언어와 국어
1.2. 문법과 문법 교육
1.3. 국어의 문법적 특징
Ⅱ. 문장의 짜임새 (1)
제2장 통사론의 범위
2.1. 통사론의 대상
2.2. 통사론과 형태론
제3장 문장의 성립과 문장 성분
3.1. 문장의 성립
3.2. 문장의 성분들
제4장 국어의 특수 구문
4.1. ‘이다’ 구문
4.2. 서술성 명사 구문
4.3. 소절 구문
제5장 국어 구문의 특징
5.1. 의존 용언과 그 필수적 보충어
5.2. 동음 서술어의 논항구조
5.3. 어순 바꾸기
Ⅲ. 문장의 짜임새 (2)
제6장 문장 속의 문장
6.1. 안김과 안음
6.2. 문장의 안김과 성분의 생략
6.3. 여러 겹으로 안김
제7장 이어진 문장
7.1. 연결어미
7.2. 이어진 문장의 통사적 특징
7.3. ‘-와/과’에 의해서 이어진 문장
Ⅳ.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제8장 사동과 피동
8.1. 사동문
8.2. 피동문
제9장 부정법
9.1. ‘안’ 부정법
9.2. ‘못’ 부정법
9.3. ‘말다’ 부정법
제10장 시상(時相), 법(法)
10.1. 선어말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10.2. 관형사형 어미로서의 시상, 법 형태소
10.3. 기준시점의 문제
제11장 높임법
11.1. 주체높임법
11.2. 상대높임법
11.3. 특수 어휘에 의한 높임
제12장 문장의 종결
12.1. 서법
12.2. 의향서법
12.3. 양태서법
본문내용
Ⅰ. 국어와 국어문법
제1장 국어와 문법
1.1. 언어와 국어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인간으로 하여금 사회생활을 유지하고 문화의 창조․발전․계승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수단이다. 언어는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사람된 보람 중의 하나다. 즉, 사람을 어느 정도 지능을 갖춘 동물들과 구별 짓는 가장 신빙성 있는 척도는 언어를 사용하느냐 아니하느냐 하는 것이다. 사람이 말을 한다는 것은 선천적으로 물려받은 기능이다.
우리가 말을 하는 것은 남에게 어떤 뜻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 뜻을 실어서 전달하는 도구는 말소리(음성)이다. 즉, 우리는 말소리(음성)에 뜻을 싫어서 남에게 전달한다. 그런데 말소리는 말을 하는 때에 그 현장에 있지 않으면 들을 수 없는 까닭에, 말소리의 이러한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든 것이 문자이다.
말소리와 그것이 싣고 있는 뜻 사이의 관계는 자의적(임의적)이다. 그래서 언어는 자의적인 음성기호의 체계라고 한다. 그러나 일단 어떤 말소리에 일정한 뜻이 주어져서 굳어지면 그것은 사회적인 구속력을 가지게 되어 개인이 마음대로 바꿀 수가 없게 된다.
모든 언어는 보편적인 특질을 공유하면서도 개별적인 언어 하나하나가 그 나름대로의 특질을 따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언어에는 그 사회의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국어에도 우리의 사고방식, 사물을 파악하는 방법이 반영되고 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국어를 배움으로써 이런 문화적 전통을 동시에 습득하고 문화적 동질감을 가지게 되며, 정서적으로 민족적인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정확한 국어생활이 왜 중요한가 하는 것은 이런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1.2. 문법과 문법 교육
국어에서 조사는 명사 뒤에 붙여 쓰이며, 관형사나 부사는 그것이 꾸미는 명사나 용언 앞에 쓰인다. 단어와 단어가 이렇게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되 서로 이웃하는 단어 사이의 관계에는 멀고 가까움의 차별이 있고, 결합 구성의 층위가 있다. 또한 국어에서 문장부사는 자리 옮김이 아주 자유스럽다. 하지만 모든 문장에서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언어의 구조적 질서, 그 속에 내재하는 규칙이 곧 문법이다.
언어는 어느 것이나 서로 공통적인 특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