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

 1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1
 2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2
 3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3
 4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4
 5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5
 6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6
 7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7
 8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8
 9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9
 10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10
 11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패러디를 통해서 본 최인훈의 `구운몽` -환상성에 기초한 패턴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1) 작가 최인훈과 그의 작품세계
2) 연구방법

2. 펼치기
1) 최인훈의 에서의 환상의 위치
(1) 서사의 경계와 이중구조
(2) 패러디를 통한 환상성
(3) 환상성을 통한 세계관 비교
2) 김만중의 과 최인훈의 의 비교분석
(1) 팔 선녀의 변형 및 계승
(2) 환상적 서사구조
3) 환상성에 기초한 최인훈의 분석
(1) 경계가 모호한 겹의 구성과 서사의 연계
(2) 장면의 단절적 전환과 반복구조

3. 맺는 말
본문내용
2) 연구방법

최인훈의 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들 중, 그 난해한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는 형식적인 접근 방법 이 대개이며 외에도 텍스트에 나타나는 담론과 이데올로기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논의 들과 정신분석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텍스트 내의 환상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논의 들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논의들로 인하여 최인훈의 에 대한 내∙외적 특질들은 어느 정도 밝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의들은 내용과 형식의 규명에 있어 어느 한 쪽에 치우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텍스트를 구성하는 서사구조와 주제와의 긴밀한 상관성에 더욱 주목하고, 작중 인물들이 지닌 욕망의 특질과 그 지향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더욱 심도 깊은 논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하여 작가의 창조와 재창조에 기반한 외적 미메시스를 넘어서, 텍스트 내에서 끊임없이 재창조되는 주제의식과 독자가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다시금 재창조되는 주제의식의 내적 순환과정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최인훈의 은 김만중의 을 패러디한 작품이며 본고의 논의는 여기에 중점을 두고 진행될 것이다. 두 소설 모두 환상적인 꿈의 소설이며, 서로 다른 이야기가 중첩되며 동시에 외로움의 정서를 가지고 있는 소설이다. 그 외로움을 어루만져 줄 그리운 여인은 어디에나 있지만, 끌림만 있을 뿐 서로를 알아보지 못하고 갈증은 채워지지 않는다. 이러한 패러디에 엮여진 두 소설을 비교 분석하고 환상성에 기초하여 패턴 분석을 전개하고자 한다.

2. 펼치기

1) 최인훈의 에서의 환상의 위치
(1) 서사의 경계와 이중구조

최인훈의 끓임 없는 실험 정신은 60, 70년대 리얼리즘의 경고한 틀을 갖고 있는 우리 문학계에서 하나의 경이로움이다. 리얼리즘의 경도에 있었던 당시의 문학 풍토 속에서 그의 환상성은 거의 이단덕인 행위였으며, 기존의 작품들을 패러디한 그의 일련의 텍스트들은 독창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분위기에서는 진정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운 행위로 보여 질 수 있다.
그러하기 때문에 중편 소설 정도의 분량밖에 되지 않는 이 소설이 왜 난해한 소설로 정평이 났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그것은 서사구조를 혼동하기 때문이고, 다음으로는 인물간의 관계규명을 명확히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본다. 우선 이 텍스트의 서사는 3개로 되어 있다. 문화형의 모습을 보이자면 세계관이 다른 시대의 인물을 등장시키고, 동시대의 인물간의 차이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럴 경우 환상 계와 현실계의 이중 구조를 하거나 자의 분열, 분신을 이용하면 효과적이다.
텍스트의 서사 양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독고민의 서사: 간판사 독고민은 정체불명의 편지를 받고 애인 숙이 보냈을 것으로 단정한다. 편지의 내용을 믿고 그녀를 만나러 ‘미궁’ 다방으로 가지만 만나지 못한다. 대신 돌아오는 길에 시인들, 노은행원들, 발레리나, 죄수들, 여급 에레나 등을 만난다. 병원에서 동사한다.

김용길박사의 서사: 개인 사항이 독고 민과 동일하다. 신경외과 의사로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인간의 유일성과 동일성을 찾는 연구를 한다. 조수 빨간 넥타이 민 선생을 사랑한다. 병원 벤치에서 동사한 독고 민을 제자에게 해부하도록 한다.

영화를 본 연인의 서사: 독고 민과 김용길 서사가 한편의 영화였다. 이 영화를 보고 나오는 연인이 사랑을 나눈다.

위의 서사에서 환상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서사는 독고민의 서사이다. 독고민은 숙의 편지를 받고 그녀를 만나기 위해 약속장소인 다방 미궁을 찾아 가지만 그녀를 만나지 못한다. 다방 이름이 미궁인 것은 독고민이 처한 현실과 도시가
참고문헌

최인훈, 『광장/구운몽』, 문학과지성사, 1999

김춘식, 「최인훈 의 패로디와 아이러니」, 『동국어문학』 6집, 1994.
오승은, 「최인훈 소설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손유경, 「최인훈∙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텍스트의 자기반영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차봉준, 「최인훈 패러디 소설 연구」, 『숭실어문』 17집, 2001.
정은주, 「최인훈의 ,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김경욱, 「최인훈 소설의 이데올로기비판 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이인숙, 「최인훈 소설의 담론특성 연구: 서술층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김인호,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주체성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서은주, 「최인훈 소설 연구: 인식태도와 서술방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0.
최현희,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김미영, 「최인훈의 론: 인물과 환상성을 중심으로」, 『한양어문』, 2001.
임금희, 「최인훈의 소설 연구」, 『새국어교육』, 2005.
배현자, 「김만중의 과 최인훈의 에 드러난 “환상성” 고찰」, 『현대문학의 연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