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

 1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1
 2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2
 3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3
 4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4
 5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5
 6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6
 7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7
 8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8
 9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9
 10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원전「구운몽」과 최인훈의「구운몽」의 비교 분석

1) 원전의 서사구조 패러디화

2) 소설 속 시간에 따른 비교 분석

3) 소설 속 공간성에 따른 비교 분석

4)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인 상징성 비교 분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전『구운몽』과 최인훈의『구운몽』비교 분석


1. 서론
몽유양식이란 `몽유 모티프를 작품의 구조로 수용한 하나의 패턴화된 서술 유형`을 말한다. 이러한 몽유 모티프가 작품에서 주요 기능을 할 때, 그것이 이른바 `현실-꿈-현실`의 몽유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것은 순차적 서술구조로 나타나 일종의 액자 소설의 형태가 된다. 한편, 순차적 구조는 다시 현실과 꿈의 대립항이 병렬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과제의 주요 분석대상이 될 김만중의「구운몽」과 최인훈의「구운몽」은 이러한 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현실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환상적인 구조, 불연속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산만한 소설 공간, 다양한 수준의 언어가 뒤섞이는 언어의 혼란 등이 일상적인 소설독법으로는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매우 난해한 작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설은 1차 독서에서 얻은 정보를 갖고 `다시 읽기`를 했을 때만이 독자는 어떠한 내용이 전개되었는지를 비로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다시 읽기`를 통해 얻는 정보에 따라 이번 과제의 주요 쟁점인 김만중의「구운몽」의 담론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인훈의「구운몽」이 갖고 있는 서사구조가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비교하면서 그에 따른 시간, 공간상에서의 서술형태와 사회적인 상징성의 분석을 시도해 보면서 각 소설의 특징을 비교 검토해 보기로 한다.

2. 원전「구운몽」과 최인훈의「구운몽」의 비교 분석
1) 원전의 서사구조 패러디화
우리의 현대 소설 중에서 패러디적 수법을 보여 주는 여러 작품들 중에 최인훈의「구운몽」은 고전소설「구운몽」과 동명의 소설로서, 그 서사구조를 패러디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인훈의「구운몽」은 원전 구운몽의 유기적 세계관에 대한 패러디를 통해서 현대의 상황을 진단하고 관찰함과 동시에 이를 토대로 현대의 억압구조와 지배적 담론을 패러디화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고전소설「구운몽」은 성진이 양소유가 되어 세속을 유전했듯이, 꿈결로 시작되는 최인훈의「구운몽」은 독고 민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 한편을 작품 속에 담고 있다. 영화가 끝난 후의 영화시사회 장면은 마치 양소유가 한바탕의 꿈을 꾸고 나서 관음보살 앞에 앉아 세속적 삶의 덧없음을 말하는 장면을 떠올리는 한다.
최인훈의「구운몽」속의 영화는 다시 꿈에 대한 회상과 몽유적 현실, 꿈, 이성적 현실, 법화 등 여러 서사들이 한바탕의 꿈처럼 무질서와 혼돈으로 전개된다. 영화는 작품「구운몽」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영화가 끝나고 영화시사회가 끝나자마자 작품은 종결된다. 영화와 영화시사회가 작품의 거의 전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최인훈의「구운몽」은 공히 `절대적 관념이 부재한 세계 속에 인간의 구원`이라는 문제를 통해 그 내면화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것은 출구를 쉽게 찾을 수 없도록 의도적으로 구성된 혼돈의 양상이 문학의 특정 요소들에 의해 은유적으로 제시되는 하나의 `미로`와 같은 서사구조로 작가의 이상을 실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최인훈, 『광장/구운몽』제4판, 문학과 지성사, 1994
2) 조동일, 『한국문화통사』 제3판, 지식 산업사, 1994
3) 조재희, 『한국 현대소설의 미로이미지』,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1996
4) 이원수, 『의 구조와 그 중층적 의미』, 어문논집 5집, 1994
5) 정출헌, 『의 작품세계와 그 이념적 기반』, 김만중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3
6) 이인숙, 『최인훈 소설 의 담론특성에 대하여』, 명지대학교, 1994
7) 한국소설학회,『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8) 신재홍, 󰡔한국몽유소설연구󰡕 , 계명문화사, 1994.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