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
 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2
 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3
 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4
 5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5
 6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6
 7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7
 8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8
 9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9
 10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0
 11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1
 12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2
 13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3
 14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동동, 쌍화점, 가시리, 청산별곡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고려가요의 개념과 연구 방향
Ⅱ. 본론
1. ‘동동’의 후대적 수용 양상
2. ‘쌍화점’의 후대적 수용 양상
3. ‘가시리’의 후대적 수용 양상
4. ‘청산별곡’의 후대적 수용 양상
Ⅲ. 결론
본문내용

신민요는 개항 이후부터 일제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전국적으로 유행했던 민요를 말한다. 각 지방에서 전승되던 민요 가운데 교통의 발달로 지역적인 한계를 넘어서 널리 불러지게 된 것이거나 당시에 새로 창작되어 유행한 민요를 말한다. 1860년 개항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근대민요 또는 신민요라고도 하였다. 각 지방의 민요가 고유한 기능을 지니며 전승된 것과는 달리 비기능요로서 노래되었다. 공사판에 동원된 일꾼이나 삶의 터전을 잃어 떠돌아다니지 않을 수 없었던 유랑민, 그리고 퇴폐적인 향락에 빠져 울분을 달래고자 했던 한량들이 민요를 즐겨 부르게 되었고, 그것이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여기에 편승하여 새로이 민요 가락에 얹혀 사설이 만들어지면서 새 민요가 창작되어 유행했다.
신민요가 갖고 있는 전통적인 노래의 어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향토적 풍경 등이 주요 소재로 나타났으며, 시골마을이나 강촌 등 토속적 풍경을 배경으로 하였다. 신민요는 괴로움을 해학적으로 풀어낸다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이런 신민요의 특징은 절박한 시대상황을 너무 희화하거나 풍류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에서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살아가는 대중들의 심연을 파고들지 못함에 따라 그 한계를 드러냈다. 결국 신민요는 당시 대중들의 삶과 정서, 시대적 긴장감과 유리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자생력을 상실함에 따라 더 이상 발전되지 못하고 소멸되어 갔다.
신민요 중 은 트로트 및 신민요가수 ‘김부자’에 의해 불러지면서 큰 인기를 불러왔다. 이 의 월별 나열은 의 월령체적 성격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
정월에 뜨는 저 달은 새 희망을 주는 달
이월에 뜨는 저 달은 동동주를 먹는 달
삼월에 뜨는 달은 처녀 가슴을 태우는 달
사월에 뜨는 달은 석가모니 탄생한 달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 태백이 놀던 달아
오월에 뜨는 저 달은 단오 그네 뛰는 달
유월에 뜨는 저 달은 유두 밀떡 먹는 달
칠월에 뜨는 달은 견우 직녀가 만나는 달
팔월에 뜨는 달은 강강수월래 뛰는 달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 태백이 놀던 달아
구월에 뜨는 저 달은 풍년가를 부르는 달
시월에 뜨는 저 달은 문풍지를 바르는 달
십일월에 뜨는 달은 동지 팥죽을 먹는 달
십이월에 뜨는 달은 임 그리워 뜨는 달


2. ‘쌍화점’의 후대적 수용 양상
1) ‘쌍화점’ 작품 해석

참고문헌
< 참고 문헌 >
김문태,「고려시가의 조선조 수용양상-성종․중종조의 고려속요 비판을 중심으로」,한국시가학회, 1999
고정희,「의 후대적 변용과 문학치료적 함의」, 한국문학치료학회, 2006.
성호주.『고려속요의 재조명과 연구사적 반성』, 수련어문학회, 1985.
여운필 「쌍화점 연구」,『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92권』, 1984.
여증동,「쌍화점고구」『향가여요 연구』,이우출판사, 1985.
< 참고 사이트 >
네이버 www.naver.com
다음 www.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