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

 1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1
 2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2
 3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3
 4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4
 5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5
 6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6
 7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7
 8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8
 9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분류와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
1. 여음의 개념
일반적으로 여음의 의미는 문학과 음악에서 각기 달리 쓰인다. 정경란, 고려속요의 여음, 한국학대학원논문집 11집, p.115
음악에서의 여음은 가사가 없는 부분 즉, 가사가 끝나고 기악으로만 연주되는 부분으로서 간주후주의 역할을 하지만 문학에서 여음이란 시가에 있어서 뜻의 전달보다는 조흥과 조율 및 의미 확장을 기하는 소리(구음)로서 반복에 의해 한 형식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즉 다시 여음의 개념을 간단히 정의하자면, ‘흥과 멋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내지 감탄적 사설’이라고 할 수 있다. 후렴구(여음, 조흥구)이라는 것은 노래로 불려지던 시가 등에서 연과 연 사이에 혹은 행(行)과 행 사이에 위치하며, 의미표현보다는 가락과 흥을 돋우는 목적을 가진 구절이다. 후렴구에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 감탄사, 뜻이 들어있는 어절 등이 있는데 그 연원은 굉장히 오래되었다. 10구체 향가의 끝 부분에 낙구가 있어 후렴구의 역할을 하고 있는걸 알 수 있다. 또 시조의 종장 첫머리가 또한 감탄사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들은 모두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여음후렴의 발생은 원시시간의 생성과 더불어, 혹은 그 이전부터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민중에 회자된 것은 정형구로서 모든 시가에 등장하였으리라 추측된다.
지금까지 여음에 대한 명칭은 감탄사(感歎詞), 구음(口音), 구호(口號), 뒷소리, 보조어, 받음소리, 여음, 입타령, 조율소(調律素), 조흥구(助興句), 후렴(後斂), 첩구(疊句)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어 왔고 그 정의도 논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감탄사’ · ‘구음’은 여음의 일부만 지칭한 것에 지나지 않고, ‘뒷소리’ · ‘입타령’은 노래 불리어진 것에만 주목한 용어여서 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없다. ‘조율소’나 ‘조흥구’는 역할에 의해 붙여진 것이지만 다 포괄하는 명칭이 되지 못하고 ‘첩구’나 ‘후렴’ 역시 반복되거나 뒤에서만 사용되어야 가능하다. 이들에 비해 ‘여음’이란 용어는 전후렴을 통칭하면서 ‘조흥구’나 ‘뒷소리’ 등을 다 포괄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여음’이란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2. 여음의 분류 송정숙, 「한국 고시가의 여음 연구」,『국어국문학연구』6, 원광대학교,1980, 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상」,『전농어문연구』제10집, 1998에서 재인용.
1) 내용상 분류
① 감탄여음 : 어야어야, 아으, 어의야, 어와, 위, 위위, 아, 아소님하, 두어라, 어즈버
② 악기의 擬音 : 어강됴리, 다롱디리, 動動다리, 다로리거디러, 더러둥셩, 두어렁셩, 더러 둥셩 외
③ 무의미한 삽입어사 : 나, 증즐가, 아즐가, 太平聖代, 景幾何(景긔엇더니잇고)
④ 有意語辭 :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그 잔l티 덤거츠니 업다(쌍화점), 딩하돌하 (정석가), 有德하신 님을 여l와지이다(정석가), 듥기둥(상저가), lㅅ더라, 닫드러라, 이어라, 돋라라, l셰여라, l여라(어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