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

 1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
 2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2
 3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3
 4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4
 5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5
 6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6
 7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7
 8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8
 9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9
 10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0
 11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1
 12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2
 13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3
 14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4
 15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5
 16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6
 17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물류] 부산항 허브화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서론

Ⅱ. 본론

1. 허브항

1) 정의

2) 허브항만이 되기 위한 조건

3) 허브항의 중요성

① 선박의 집중기항지

② 화물의 집중, 분산 기지

③ 국제 비즈니스 센터로의 역할 확대

4) 허브항의 경제적 효과

2. 부산항

1) 부산항 현황


① 지리적 여건과 위상
② 항만시설 개발현황

③ 부산항의 항계

2) 부산항 시설 및 처리현황

① 컨테이너터미널 시설 및 장비현황

②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 실적/물동량 추이
③ 부산항 일반부두 화물 처리실적

3) 부산항의 강점과 기회요소

① 강점

㉠ 지정학적 위치

ⓐ주요이점

ⓑ 배후도로망 확보

㉡ 활성화된 지역 경제 (국내에서 비교우위 확보)

② 기회

4) 부산항의 문제점

① 부산신항과 북항간의 불균형 문제

② 항만 시설의 구조적 문제 - 컨테이너 전용 부두 부족

③ 하역장비 및 생산성의 문제

④ 항만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문제

⑤ 재래부두 중심의 환적 시스템

㉠ 환적화물 이송시간의 문제

㉡ 환적화물 이송체계의 문제점

㉢ 재래부두의 시설 부족

⑥ 컨테이너 통관체계 문제점

⑦ 근해선사 물류서비스 문제

㉠ 아시아 역내 피더망 위축 우려

㉡ 근해선사 전용터미널 미비

3. 외국의 성공적 사례 - 싱가포르항

1) 특징

2) 영업 현황

3) 싱가포르의 성공 전략

① 천혜의 입지조건과 첨단시설 투자

② 인적자원의 우수성

③ 해운선사들과의 파트너쉽 관계

④ 전자 물류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계성의 중요성

4.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

1) 항만 배후연계 수송능력의 확대

2) 피더 네트워크 확대

3) 국내 항만 간의 기능 및 역할 분담 조정

4)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5) 항만물류산업의 정책적 육성

6) 외국인 고용 특별법 & 배후부지의 확대

7) 기타

♣ 참고문헌


본문내용
② 기회
㉠ 중국과 러시아 등 동북아 경제 성장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함
㉡ TSR(시베리아횡단철도)/TCR(중국횡단철도) 연계 가능성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자유무역지역(다양한 면세 혜택) 지정으로 항만 성장 잠재력 확보

4) 부산항의 문제점

① 부산신항과 북항간의 불균형 문제
부산항의 화물처리량은 여전히 북항에 치우쳐 있다. 지난해 신항은 세계 최대 선사인 머스크라인의 이전에도 불구, 부산항 전체 물동량인 1천326만TEU의 4.5% 수준을 처리하는 데 그쳤다. 당시, 업계 안팎에서는 신항이 기존 신선대부두에 기항하던 머스크라인을 유치하면서 파격적으로 낮춘 하역요율을 제시, ‘제살깎기’란 지적과 함께, 부산항 내 ‘물량 뺏기’ 싸움에 시동을 걸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신항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전년동기대비 200%를 웃도는 성장세를 보인 반면, 같은 기간 북항 자성대, 신선대 터미널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각각 10%, 23% 가량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신항의 물동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존 북항 화물을 옮겨온 것이 대부분"이라며 "오히려 물량 이전 과정에서 하역 요율이 크게 떨어지는 등 ‘신항과 북항 간 물량 다툼’ 속에서 선사들만 입이 벌어졌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신항과 북항 간, 북항 컨테이너 부두와 재래부두 간, 물량확보를 위한 부두운영사들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따라 부산항의 하역요율은 30% 가량 하락했다.

② 항만 시설의 구조적 문제 - 컨테이너 전용 부두 부족
1998년 세계 5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이던 부산항이 1999년에는 세계 4위, 2000년도에는 대만의 카오슝항을 제치고 세계 3위의 컨테이너항만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부산항은 1만t급 이상의 컨테이너부두가 16선석으로 싱가포르 41선석, 고베항 37선석, 카오슝항 27선석, 홍콩항 22선석, 상해항의 18선석과 비교하면 최하위 수준이다. 부산항의 경우 2000년도에 총 754만 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였지만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아닌 일반 화물부두에서 31%인 235만 TEU나 처리하여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부족 실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만시설 확보율은 현재 80%에 불과하며, 컨테이너부두의 경우 부산항의 일반화물부두를 포함하여도 시설확보율이 78%에 지나지 않는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부산항 재래부두 재개발 방안 연구 : 최종보고서 / 부산항만공사(2005)
부산지방해양수산청 홈페이지
EBN 산업뉴스(2008-07-28 )
부산항의 환적화물 추세분석 및 유치를 위한 대책 (동북아물류연구센터 저)
항만경쟁력 변화분석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방안 / 부산 발전연구원/ 2006.01
주옥영 성균관대학교 2004
부산발전연구원. 동아시아물류동향 국내동향 (2009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