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

 1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1
 2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2
 3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3
 4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4
 5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5
 6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6
 7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7
 8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8
 9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향가전통의 행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전기의 시대적 배경
1. 통치 질서를 확립하고자 하던 시기
2. 고려 전기의 지배층의 두 갈래와 사회 상황
Ⅱ. 고려전기 문화의 특징
1. 문화 담당층의 연속
2. 한시와 향가가 아울러 존재했던 신라 문화의 이원성
3. 고려 시대 향가의 한계와 그 잔존 형태
4. 고려 전기 향가의 문학사적 위치
Ⅲ. 균여의
1. 시대적 배경
2. 균여의 신분과 업적
3. 해석
4. 향가에서 의 중요성
5. 의 한역시와 의의
6. 의 출전 -『균여전』에 대해
Ⅳ. 예종의
1. 이후의 향가에 대한 기록
2. 의 사연
3. 해석
4. 예종의
Ⅴ. 정서의
1. 작자 정서에 대해
2. 창작 때의 상황
3. 의 풀이
Ⅵ. 향가 특히 사뇌가의 종말

본문내용
Ⅱ. 고려전기 문화의 특징

1. 문화 담당층의 연속
신라 문화가 고려 전기 문화로 계승된 것이 고려 전기 문화의 기본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앞 시대의 문화를 잇고자 하면 그 성과를 넘어선 창조를 이룰 수 없다. 개혁이 필요
고려 후기인 13세기 이후에 와서야 새로운 지배층 사대부에 의한 시조시대의 시작

2. 한시와 향가가 아울러 존재했던 신라 문화의 이원성
◈ 한시를 통해 중세의 보편주의를 구현하는 한편 향가를 지어 민족문화의 독자성 제시
◈ 한시가 귀족 양호간의 정감 전달 방식이라면, 향가는 귀족과 민중 사이의 교류를 담당할 수 있는 것이라는 이유로 어느 하나도 소홀 할 수 없다.
◈ 한시로는 나타낼 수 없는 부족한 감격, 노래를 불러야만 풀릴 수 있는 고조된 느낌의 호소를 위해 우리말 노래 즉, 향가가 필요함

3. 고려 시대 향가의 한계와 그 잔존 형태
① 균여의 향가 : 원래의 서정성을 순수하게 지니지 못하고 불교적 교화를 표방하는데 치우치고 맘.
② 도이장가 : 넉 줄 향가로 사뇌가 형식에 벗어남. 전/후반부가 나뉜 민요에 다시 접근.
③ 정과정곡 : 사뇌가와 거의 같은 형식을 갖추고 있어 주목되나 후대의 국문표기만 전함.

4. 고려 전기 향가의 문학사적 위치
고려인으로서의 임무를 자각 신라와는 다른 고려의 통치 질서를 수립에 관여
향가계승
향가를 지은 이유를 역사의 커다란 전환이 이루어 졌어도 고려 전기의 사회와 문화가 신라의 경우와 근본적인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는 데서 찾아야 마땅하다.
참고문헌
『한국문학통사』권1, 조동일, 지식 산업사, 1994.
『고전시가 작품론』집문당, 1992
『우리의 고전시가』임종욱, 나무 아래 사람, 2002
『새로 읽는 향가 문학』임기중, 아세아 문화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