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

 1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
 2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2
 3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3
 4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4
 5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5
 6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6
 7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7
 8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8
 9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9
 10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0
 11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1
 12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2
 13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3
 14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4
 15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호학] 청소년 언어생활속 은어의 기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언어생활, 삶, 그리고 기호학
[표 3]은어의 생성과정 및 의미 과정
청소년들의 은어 기호의 생성 과정과 의미 작용 양상 탐구
[표 1]청소년 집단 내 은어의 기호 정리 - ‘전승’과 ‘차용’의 복합 기호
[표 2] 복합 기호 생성의 나뭇가지 모형 - 청소년 집단내 은어의 경우
[표 3]은어의 생성과정 및 의미 과정
2. 표본 집단에 드러난 특수한 커뮤니케이션 구조
[표 4] 학생과 선생님간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표 5]학생들의 커뮤니티 공간에 내재된 의미 분석
커뮤니티 속 분석 요소
표현된 내용
(Representation)
실제 비판하는 내용
(Objective)
인터넷 까페 명칭
2003 이조Family
‘이조’는 담임선생님의 강한 보수주의적 성향을 비꼬기 위하여 학생들이 붙인 별명으로, 까페 이름에 선생님 성함이 아닌 별명을 제시하여 이 까페가 Anti또는 비판적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인터넷 까페 메뉴

실천궁행 기록장
이는 학교에서 실제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자기 반성문 형태의 과제이나, 인터넷상에서는 선생님이 의도한 윤리적 예절의 원칙을 무시하고 하루하루의 사건들 중 기분 나빴던 일들에 대하여 기록하는 곳으로 이용되고 있음
이조 Family
이는 가입한 학생들의 자기소개를 기록한 게시판이나, 담임을 맡은 반의 학생들뿐만 아니라 평소 불만이 많았던 학생들까지 가입하게 되어 반 명칭을 붙이지 않고 Family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음. 여기서도 ‘이조’라는 명칭은 여전히 선생님의 본명을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음
이조, 즐~!
앞 서 언어생활에 대한 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즐~’은 일종의 무시의 표현으로 담임의 여러 행위에 대한 무시를 비롯하여, 담임의 행동 자체가 사라지길 바라는 뜻을 지님. 또한 게시판은 선생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음.
크게 어리석은 사람이 되자
이는 반 급훈인 ‘크게 지혜로운 사람이 되자’를 풍자한 것으로, 교실 안 급훈 아래 적혀있는 여러 가지 예절 교육이나 소학, 대학과 같은 유교적 내용에 대한 반대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게시판은 인터넷에 유행하는 엽기적인 내용이나 가벼운 유머를 다루고 있어 실제 학교생활의 그것과 큰 대비를 이룬다.
[표 6]학생들과 선생님간의 변형된 커뮤니케이션 모형
[표 7]갈등적 계층 간의 'Communication Cascade Model'
3. 표본 집단 학생들과 선생님의 갈등의 기호 탐구
1. 선생님과 학생의 기호성
2. 관계와 기호의 대립
(1) 보수적인 것과 진보적인 것의 대립 양상
[표 7]Analog Style VS Digital Style
[표 8]몸짓이나 유행을 통해 알아본 특성
언어생활, 삶, 그리고 움직이는 기호의 포즈

본문내용
언어생활, 삶, 그리고 기호학

우리 조는 기호학적 사유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사유에서 출발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 주제 선정에 있어서도, 조금은 더 살아 있는 텍스트를 취하고 싶었다. 그러한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이라는 텍스트를 잡아내었다. 최근 현대인들의 경우 미디어와 인터넷 등의 영향력과 사회적 정보의 현격한 증가로 인한 과잉 커뮤니케이션(over-communication) 안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청소년이란 집단 자체가 일반적인 정서 발달 과정에 있어 매체와 언어에 민감한 집단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하철 한 공익 광고를 보면 “선생님 안냐세욤. 방가 방가 ^-^ 꾸벅~” 이런 식으로 아이들의 언어생활이 바뀔까봐 걱정된다는 문구가 있다. 여기에서 일단 사회 병폐 현상에 대한 논의는 본 연구의 방향을 감안, 논외로 하고 이러한 광고는 사회적 표준 언어의 파괴 혹은 변형의 현상이 청소년 집단에서 두드러진다는 것에 대한 반증으로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년 언어생활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침윤되어 있는 각종 사유들과 의미들을 찾아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일단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기 위해 표본 집단으로 여고 한 반을 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1차는 설문지법을 통해 그리고 2차는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경우 청소년들의 특징적인 언어생활을 알아내기 위해 은어를 중심으로 어떤 유형의 은어들을 쓰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구조주의적 분석을 통해 은어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았다. 그 다음 심층 면접을 통해 이 틀을 다시 수정해서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보유하는 언어라 할 수 있는 은어에 대한 구조를 재구성해 보았다. 그리고 그 구조에 담긴 기호들이 가지는 함의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