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

 1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
 2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2
 3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3
 4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4
 5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5
 6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6
 7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7
 8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8
 9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9
 10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0
 11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1
 12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2
 13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3
 14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4
 15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5
 16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6
 17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학] `도시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민속 text로서 괴담의 의미
- 괴담 text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와 앞으로의 논의 방향

Ⅱ. 논의의 중심에서
1. 괴담이란 무엇인가
* 문헌 속에 드러나는 괴담
* 괴담의 정의
2. 과거와 현재의 괴담 text 분석
* 과거의 민담과 현재의 괴담의 비교분석
* 텍스트간의 유사성
* 텍스트간의 차이성
3. 도시괴담 text 분석을 통한 현대사회 고찰
* 도시괴담 text 분석
* 현대 괴담의 일반적 특성
4. 괴담이 현대사회에서 끊임없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Ⅲ. 마치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괴담 text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와 앞으로의 논의 방향
종래의 민속학자들은 연구의 대상인 민속 텍스트를 과거의 전통 농촌 사회에서 주로 찾아왔기 때문에 우리에게 과거와 동떨어진 텍스트는 민속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조차 어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의 사회는 과거 전통 사회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달라졌다. 산업화, 도시화를 거치면서 이촌 향도가 일어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도 전통적인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전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속학의 연구 대상은 과거 전통사회에서 현대 도시사회의 텍스트들까지 확장되었다.
우리는 현대 사회 속에서 민속의 텍스트를 찾기를 원했고 그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의 단면을 발견하기를 원했다. 요즈음 현대적 민속 텍스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 하면서, 도시에서 떠돌아다니는 각종 유머나 이야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라는 현대적 공간에서 사람들에 의해 향유되는 구술문학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문학은 공동적으로 창조, 전승, 향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술 문학 텍스트는 어느 한 작가의 배타적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익명의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전승에 참여하면서 그 형태나 내용을 변개 시켜 나간다. 그 모든 사람들이 구술 문학의 실질적인 작가이며, 그리하여 모든 구술 문학은 공동작의 문학이다. 즉 구술 문학 속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이 한데 얽혀 있다는 것이다. 일견 단순하고 유치해 보이는 구술문학 자료라 할지라도 그 이면을 세심히 살펴보면 깊고 다양한 의미가 층층이 새겨져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그 중에서 다양한 계층에서 소비되고 전파되는 괴담이라는 텍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괴담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여느 민담이나 전설처럼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하지만 괴담이 오래 전부터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에서 그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괴담이라는 텍스트 속에서 과거와 현대가 어떠한 유기적 구성을 가지며, 또한 그 속에서 현대에만 드러나는 독특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현대사회의 모습을 짐작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나아가 괴담이라는 텍스트가 끊임없이 사람들의 입을 오르내리며 전파되고 소비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 김열규, 민담학개론, 일조각, 1982
- 김종대, 한국의 학교 괴담, 다른세상 , 2002
- 데이비드 스태포드 클라크, 최창호 역, 한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푸른 숲, 2002
- 송효섭,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1999
- 쓰네미쯔 토루, 일본의 도시 괴담, 다른세상. 2002
- 최운식, (옛이야기에 나타난) 한국인의 삶과 죽음, 한울, 1997
- 최인학, 구전설화연구, 새문사, 1994
- 토도로프, 환상 문학 서설, 한국문화사, 1996
- Propp, Vladimir Iakovkvich , 구전문학과 현실, 교문사, 1990- 고등학교 국어(상)
- 한국 구비문학회, 구비문학 연구 1집

- 네이버 백과 사전
(http://100.naver.com/search.naver?adflag=1&cid=AD1034217122440&where=100&command=show&mode=m&srchmode=0&id=19328&sec=1&query=)
- 신동흔(건국대 국문과)교수 홈페이지.
(http://ouroboros.hihom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