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

 1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
 2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2
 3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3
 4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4
 5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5
 6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6
 7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7
 8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8
 9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9
 10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0
 11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1
 12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2
 13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3
 14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4
 15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5
 16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6
 17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7
 18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8
 19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19
 20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기호학] 영상매체의 기호학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상 text의 특징
의 소설과 영화 비교
3. 영화의 기호학적 접근:
4. TV 프로그램의 기호학적 접근:
5. 플래시 무비의 기호학적 접근:
6. 참고도서
본문내용
1. 서론
영상이라는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흔히 회화, 사진, 영화, TV 등등의 것들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지만 넓게는 이 모든 매체들이 보여주는 image를 뜻한다 스스무, 오카다 「미디어 영상학」강상욱 옮김 이진 출판사 1997 p22
. 아래의 논의에서는 전자의 범주 안에서 영상이라는 것을 한정하여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한정된 범주 아래에서도 몇 개의 제한된 영역으로 그 논의의 범위를 축소할 것이다. 야콥슨은 인간 사회에 있어서 가장 사회화되고 풍부하고 관여성이 있는 기호체계는 시각과 청각에 입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R, 야콥슨 “언어와 그 이외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와의 관계”「논문선집」제 2권 p701
테렌스․호옥스 「구조주의와 기호학」오원교 옮김 신아사 1998 p163에서 재인용
. 청각적 기호는 시간적 상징적이요, 시각적 기호는 공간적 도상적이다. 전자의 기호가 충분히 다듬어지게 되면 예술에서의 경우 언어와 음악의 주된 형식을 만들어 내게 되며, 후자의 것은 회화, 조각, 건축 등의 예술형식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광범한 일반화 위에 양자를 겸한 예술형식이 있겠는데, 그것들은 영화와 TV 프로그램 등이 있다 테렌스․호옥스 p164
. 이러한 분류에 따라서 영상의 하위 장르 중에서 예술 장르 중 청각과 시각적 기호를 겸한 영화와 TV만을 선택하여 살펴볼 것이며, 이에 플래시 무비라는 인터넷의 새로운 매체를 첨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일단 구체적 text의 기호학적 접근에 앞서, 영상매체의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알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소설의 영화화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난 후 영화, TV, 인터넷 매체들의 기호학적 접근을 시도할텐데, 이를 위해서 바르트의 이론을 토대로 삼을 것이다. 바르트에게 있어 신화란 현대 물질 문명의 온갖 현상들이 마치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신화와 같이 익숙해져서 너무나 당연하고 의심할 수 없는 것으로 착각하게끔 만드는 변형된 개념이다 김인식 「롤랑 바르트 문학의 이론과 실천」성균관대학교 불문과 박사논문 1993 p 49
백선기․최경순 “한국 사회의 성공 신화와 이데올로기” 「영상 문화와 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2000 p249에서 재인용
. 바르트는 이러한 신화의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언어의 기호 분석으로 설명하였는데, 기표와 기의의 1차적 체계의 최종항이 다시 기표(형식)가 되어 기의(개념)가 결합하는 2차적 체계로서의 의미작용을 통해서 신화는 드러난다 송효섭 「문화기호학」아르케 2001 p272
. 본론에서는 이러
참고문헌
W, 가스트「영화와 문학」조길례 옮김 문학과 지성사 1999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한울아카데미 1998
김지석 외 「헐리우드」제 3문학사 1992
P, 로이어 「고어영화」윤현옥 옮김 정주 1999
G, 르네「판타스틱 영화와 그 신화들」윤현옥 옮김 정주 2001
C, 메츠 「Film Language」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R, 바르트「현대의 신화」이화여대 기호학연구소 옮김 동문선, 1997
백선기 「보도의 기호학」성균관대 출판부 1995
J, 벨튼「미국영화/미국문화」이형식 옮김 한신문화사 2000
J, 비그넬 「Media Semiotics; an Introduc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소두영 「문화기호학」서울사회문화연구소 1995
송효섭 「문화기호학」아르케 2001
스스무, 오카다 「미디어 영상학」강상욱 옮김 이진출판사 1997
S, C. 얼리「미국영화: 가장 흥미로운 예술의 역사」이용관 옮김 예건사 1993
유리 로트만 외 「영화 형식과 기호」오종우 편역 열린 책들 1995
「영화 기호학」박현섭 옮김 민음사 1994
L, 지아네티 「Understanding Movies」Prentice Hall 1999
F, 카세티 “Communicative Situations: The Cinema and the Television Situation” 「Semiotica」112-1/2 1996
D, 클라텔 외 「영상시대의 미디어 스포츠」송해룡 편역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테렌스․호옥스 「구조주의와 기호학」오원교 옮김 신아사 1998
J, 피스크 「TV읽기」현대미학사 1994
한국기호학회 「영상문화와 기호학」문학과 지성사 2000
「기호와 해석」문학과 지성사 1998
「언어와 기호」문학과 지성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