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

 1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
 2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2
 3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3
 4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4
 5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5
 6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6
 7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7
 8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8
 9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9
 10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0
 11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1
 12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2
 13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3
 14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4
 15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5
 16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6
 17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7
 18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8
 19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19
 20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반심리학] 행복의 조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행복, 누구나 세상을 살아가며 추구하고자 하는 보편적 바람

Ⅱ. 본론

■ 행복의 개념

▪ 행복 추구에 대한 설명, 긍정 심리학
▪ 행복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 것인가?
▪ 쾌락주의적 행복
▪ 자기실현적 행복

■ 행복의 조건

▪ 개인적 조건
1. 돈, 소득 그리고 만족
2. 외향적이고 낙관적인 성격
3. 건강
4. 사랑, 긍정적인 환상
5. 결혼
6. 가족
7. 직무 만족도

▪ 사회적 조건
1. 국가 경제의 안정성
2. 관계적 자원
3. 성별




▪ 문화적 조건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 종교적 조건
1. 사회적 지지를 제공
2. 건강한 생활양식을 지지
3. 성격 통합을 증진
4. 생산성을 증가
5. 독특한 대처 방법을 제공

※별첨 1: 동양 종교로서 불교의 행복 관
※별첨 2: 종교와 행복은 상관성이 낮 다?

■ 행복의 수치화

▪ HQ(행복지수)란?
1. HQ(행복지수)란?
2. 행복지수 측정 방법
3. 높은 행복지수인 사람들의 특징
4. 행복지수를 높이는 방법
※별첨 3: 국가나 문화적인 집단의 행복 지수를 측정하는 HPI
※별첨 4: 행복을 돈으로 환산한다면 얼 마일까?

▪ 이스털린의 역설

Ⅲ. 결론

▪‘행복’의 조사에 대한 소감
▪우리 조가 생각하는 행복의 정의


본문내용
▪ 쾌락주의적 행복
좋은 삶에 대한 정의를 개인적 행복의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은 쾌락주의적 관점의 핵심적인 생각이다. 달리 얘기하면 쾌락주의 관점에서는 삶 속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만족을 느끼는 경험이나 생각을 가지는 것이 바로 행복인 것이다. 이러한 쾌락주의적 관점은 주관적 안녕감을 기초로 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던 주관적 안녕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외부 관찰자나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거나 신체적 건강, 직장, 혹은 수입과 같은 객관적 요인에 대한 측정치로 평가되는 것이 아닌, 한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 내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기쁜 일은 많은 반면 부정적 정서를 적게 경험할 때, 흥미 있는 활동에 몰입되어 있을 때, 즐거움은 많은 반면 고통은 적게 경험할 때,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할 때 주관적 안녕감이 넘쳐나는 것을 느낀다. 따라서 ‘주관적인 안녕감이 높다=삶이 좋다=행복하다’라고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쾌락주의적 행복으로서 기초가 되는 주관적 안녕감은 뿌듯한 만족감, 흥분, 편안함, 즐거움 등의 인간은 일차적인 긍정적 정서-어떤 일에 열중하거나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잊게 해주는 활동-를 포함하고 있다. 나중에 이는 심리학 연구의 다양한 발전을 통해 쾌락주의가 말하는 단기적 혹은 육체적/물질적인 즐거움의 범위를 넘어, 행복을 폭넓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요소로 발전하게 되었다.

▪ 자기실현적 행복
쾌락주의적 행복으로서의 개념이 삶 속에서의 만족과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었다면 자기실현적 행복은 만족과 즐거움 이외에도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일상적 의미로 사용하는 행복의 요소들을 포함한, 즉 우리 스스로의 삶을 즐기고, 우리의 삶의 방식에 만족하며 좋은 일은 나쁜 일보다 많다고 믿으며 행복하려고 하는 것이 쾌락주의적 행복이라면, 자신이 갖고 있는 잠재성에 대한 충족과 발휘를 통해 진정한 자기에 부합하는 삶을 사는 것이 자기실현적 행복인 것이다.
Seligman은 ‘경험 기계’ 실험 사례를 통해 우리가 다양한 긍정적 정서들을 경험할 자격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경험이 우리의 ‘실제적인’ 긍정적 자질이나 행동을 반영한다고 믿기 때문에 ‘그러한 기계에 연결되는 것’을 거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심리학자인 Waterman은 자기실현적 행복이 개인적인 발현성의 경험에 의한 것이며, 그와 같은 경험은 우리가 삶의 활동에 몰입할 때, 혹은 속 깊이 품고 있는 가치나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생각을 표현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자기실현적 관점에서의 행복은 건강한 발달이나 최적의 기능을 위한 기준으로 개인의 성장이나 잠재성을 연구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욕구의 위계가 있다는 자기 실현이론을 주장한 Maslow의 자기실현이론이나 Rogers의 개인중심이론과 상당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William C. Compton 지음, 서은국․성민선․김진주 옮김, 긍정심리학 입문』, 박학사, 2007.
-Steve R. Baumgadner․Marie K. Crothers 지음, 신현정 외 7명 옮김,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9.
-Jeremie Dean 지음, 정명진 옮김, 『프로이트처럼 생각하고 스키너처럼 행동하라』, 부글북스, 2008
-George E. Vaillant 지음, 이덕남 옮김, 『행복의 조건』, 프런티어, 2010.
-Martin Selligman 지음, 김인자 옮김, 『긍정심리학: 진정한 행복 만들기』, 물푸레, 2006.
-권석만 지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9.
-구재선․이아롱․서은국 지음,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이 인기가 있나?」, 한국심리학회지, 2009, 사회문제 p.15, 29-47.
-박영신․김의철 지음,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2009, 사회문제 p. 15, 95-132.
-한민․한성열 지음, 「신명나는 삶: 한국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이해」, 한국 심리학회지, 2009, 사회문제 p.15, 81-94.
-Richard J. GerPhilip 지음, 박 『심리학과 삶(18판)』, 시그마프레스,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