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1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1
 2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2
 3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3
 4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4
 5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5
 6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라 중대 불교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 대중화의 양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 신라 중대의 불교

2. 신라 중대 불교의 대중화 요인

2.1. 인과응보설의 자기중심적 해석

2.2. 승려들의 실천적 수행과 교화 활동

2.3. 대중적 불교 의식의 성장

2.4. 불교의 다양화와 실천 불교의 수용

3.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의 대중화
3.1. 승려들의 교화 활동
3.1.1. 혜공 (三國遺事, 二惠同塵)


3.1.2. 원효 (三國遺事, 元曉不羈)

3.2 민간의 불교 신앙 - 미륵신앙을 중심으로

3.2.1. 월명사의 도솔가 ( 三國遺事, 月明師兜率歌 )

3.2.2. 충담사의 차공양 (三國遺事, 生義寺石彌勒)

4. 나가며




본문내용
3. 삼국유사에 드러난 불교의 대중화
3.1. 승려들의 교화 활동
3.1.1. 혜공 (三國遺事, 二惠同塵)

- 釋惠空天眞公之家傭嫗之子小名憂助(석혜공천진공지가용구지자소명우조)
: 승려 혜공(惠空)은 천진공(天眞公)의 집에서 품팔이하던 노파의 아들로, 어릴 때의 이름은 우조였다.

- 常住一小寺(상주일소사) 每猖狂大醉(매창광대취)
: 그는 항상 조그만 절에 살면서 매양 미친 듯이 크게 술에 취해서
負簣歌舞於街巷(부궤가무어가항) 號負簣和尙(호부궤화상)
: 삼태기를 지고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노래하고 춤추니 부궤화상(負궤和尙)이라고 불렀다.
所居寺因名夫蓋寺(소거사인명부개사) 乃簣之鄕言也(내궤지향언야)
: 그리고 그가 있는 절을 부개사(夫蓋寺)라고 했는데, 이 말은 우리말로 삼태기이다.

혜공의 출신은 아버지도 언급되지 않는, 종의 아들로 매우 천한 신분에 속했다. 승려의 품격에 어울리지 않게 거나하게 취해 거리를 돌아다니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이는 하층민과 다름없는 모습으로 서민대중의 생활상을 그대로 드러내고 그 속으로 들어가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
3.1.2. 원효 (三國遺事, 元曉不羈)

참고문헌


정병삼, 「불교교학의 발전, 유식과 화엄」, 『한국사상사입문』, 한국사상사학회 편, 서문문화사, 2006.
허남진 외,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1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서울대학교 한국학 자료총서 2,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8m1564a
주홍성 외, 『한국철학사상사』, 예문서원, 1999.
이기백, 『신라 사상사 연구』, 일조각,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