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

 1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1
 2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2
 3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3
 4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4
 5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5
 6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소현성록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2. 작품 배경 이해

2.1. 창작 시기

2.2. 작자

2.3. 향유계층

3. 작품세계

3.1. 작품의 인물

3.2 작품내의 갈등과 의미

3.3 주제

4. 작품론
1) 임치균

2) 박영희

3) 문용식

4)정창권

5) 최기숙

5. 소설사적 의의 (마치며)





본문내용

2.2. 작자
『소현성록』의 작자는 미상이나, 『소현성록』에 반영된 남성의 애정욕망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나 여성의 애정욕망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았을 때 사대부 남성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소현성록』의 작가에 대해서 박영희는 당대의 소설 향유층을 고려해서 “사대부 남성이나 양반 부녀자였을 것으로 추정” 박영희, 앞의 글, p50, 1994.
했다. 정창권도 『소현성록』의 작품내용을 토대로 “여성의 처지이거나 혹은 여성의 체험을 바탕으로 더욱 인간적인 사회를 꿈꾸던 남성 작가에 의해 지어진 소설”로 추정했다.

2.3. 향유계층
『소현성록』연작의 향유층은 상층 사대부 여성이었다. 이들은 곧 사대부의 일원이다. 조선 사회에서는 공히 상층에 해당하는 사람들인 것이다. 이 점은 『소현성록』연작이 유교 윤리가 담겨 있다는 데서도 알 수 있는 면이다. 지배 계층은 피지배 계층을 계속 억압하고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분의를 강조하는 유교 이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들 소설 장르의 향유층이 사대부층이라는 점은 소설의 장르적 속성과 무관하지 않다. 애정전기소설의 향유층은 남성이지만 벌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득권을 쥐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히 체제에 비판적 성향을 띨 가능성이 높다. 이에 비해 『소현성록』 연작의 향유층은 여성이지만 기득권자이기 때문에 체제에 긍정적 성향을 띨 가능성
참고문헌

우쾌재, 『고소설연구사』, p1043-1057, 월인, 2002.
조희웅, 『고전소설 줄거리집성1』, 649p-657p, 집문당, 2002.
임치균, 「『소현성록』 연구」, 1995.
임치균, 「에 나타난 혼인의 양상과 의미」, 2006.
장시광, 『17세기의 소설 장르에 나타난 애정에 대한 욕망과 그 속성- 과 연작 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2005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 돌베개, 200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