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

 1  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1
 2  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2
 3  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3
 4  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지식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식인의 정착과 왜곡

2.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식인의 의미

3. 한국 사회 대학교육의 변질

4. 앞으로 우리 사회의 지성을 위한 대응책




본문내용


2.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식인의 의미
자본주의에서의 지식인은 전문 노동자이다. 다른 모든 노동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노동을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이다. 다만 그 노동이 고급한 정신노동이라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 역시 누군가에 의해 고용되어야 하며, 고용의 기회는 다른 일반 노동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장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그들은 엄연히 고용된 노동자로서 고용주와 대립관계에 있다. 이것은 자본주의에서 지식인의 위치와 전시대 지식인의 위치를 구분하는 본질적인 차이이다.
체계화된 사고를 하는 지식인이 출현한 이래 지식인이 자본주의 사회에서처럼 피동적으로 된 시대는 없었다. 전통적으로 순수학문을 추구한 서양에서나, 정치권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 온 동아시아에서나, 지식인은 주체적인 존재였다. 그들은 자신들에게 절실한 바를 연구하며 가르쳤다. 누구도 그에게 무엇을 연구하고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를 규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가르치고자 하는 것을 가르쳤으며, 가르치고자 하는 사람을 가르쳤다.
1980년 이래 한국 인문학계는 사회학과 국사학 분야 사람들에 의해 이끌어져 왔다고 할 수 있는데, 그들은 공통적으로 과학적 사고방식을 중시해 왔다. 그 내부에는 실증주의적 접근과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의 차이가 있으나, 과학적 접근인 것은 공통이다. 그리고 그러한 과학적 방법론은 또한 자본주의 사회의 직업적 지식인에게 적합한 공부 방법론이다.
마르크스주의적 사고를 하는 학자들이 어떻게 자본주의적 사회가 요구하는 학문을 할 수
참고문헌



전상인, 2006, ≪우리시대의 지식인을 말한다≫, 에코리브로

장회익ㆍ임현진 외, 2001, ≪한국의 지성 100년≫, 민음사

김종인, 2004, ≪한국의 대학과 지식인은 왜 몰락하는가≫, 집문당

Alan S. Kahan, 2010, ≪지식인과 자본주의(The War between Intellectuals and Capitalism≫, 부글books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