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

 1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
 2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2
 3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3
 4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4
 5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5
 6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6
 7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7
 8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8
 9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9
 10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0
 11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1
 12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2
 13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3
 14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4
 15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5
 16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6
 17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7
 18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8
 19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19
 20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하얼빈 의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안중근의 가계(家系)와 성장
2.1. 가계(家系)
2.2. 성장
3. 안중근의 독립운동
3.1. 교육활동
3.2. 항일의병운동
4. 하얼빈 의거와 재판
4.1. 사건 배경
4.2. 사건 과정
4.3. 공판 투쟁
4.4. 사건의 성격
5. 국내외의 반응
5.1. 국내의 반응
5.2. 국외의 반응
6.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3.2. 항일의병운동

1907년 안중근은 진남포에서의 교육활동과 국채보상회 활동을 접었다. 그리고 북간도(北間島)로 향하였다가 일본군이 많이 주둔한 것을 보고 방향을 바꿔 연해주, 특히 블라디보스토크(海蔘威)로 갔다.
여기서 의문이 드는 점은 ‘그는 왜 1907년 갑자기 모든 활동들을 접고 연해주로 갔냐’는 것이다. 이에는 앞에 나온 삼합의의 실패 등 그 외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첫 번째로는 1907년 초 만난 아버지 안태훈(安泰勳)의 절친한 친구의 권유가 그 이유였다. 그는 다음의 내용과 같이 권유하였다.

지금 백두산(白頭山) 뒤에 있는 서·북간도와 러시아 영토인 블라디보스토크(海蔘威) 등지에 한국인 1백여만 명이 살고 있는데, 물산(物産)이 풍부하여 과연 한번 활동할 만 한 곳이 될 수 있는 땅이니, 그대 재주로 그 곳에 가면, 뒷날 반드시 대업을 이룩할 수 있다. 中野泰雄, 󰡔일본의 지성이 본 安重根󰡕, 경운출판사, 1984, p.143.


안중근은 이 가르침을 지키겠다고 그에게 약속하고 헤어졌다 한다.
두 번째로는 헤이그 특사 사건의 실패와 그에 의한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 : 1907년 고종을 강제 퇴위하고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만의 협정으로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다. 일본에게 사법권을 제외한 법령제정권, 관리임명권, 행정권의 권리를 줌으로써 일제가 한반도 식민지화를 거의 완성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후 일제는 1909년 기유각서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남은 사법권까지 박탈함으로 대한제국은 무늬만 자주국이지, 일본의 완전한 식민지가 되었다. 1910년에는 병탄(일명 한일병합)을 맞게 되면서 그 무늬마저 상실하게 되었다.
, 일명 정미(丁未) 7조약의 체결을 이유로 들 수 있다. 1907년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렸다. 이곳에 고종황제는 일본 몰래 이준, 이상설, 이위종을 특사로 보내, 일본의 부당한 외교권 박탈과 대한제국의 독립을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를 일찌감치 눈치 챈 일본의 방해로 고종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켰다. 고종이 퇴위되고, 반대세력들이 사라지자 일본은 대한제국의 식민지화를 앞당길 수 있는 조약을 강요하였는데, 그 것이 그 해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이다.
특히 안중근이 연해주로 이주하는 것에 영향을 준 것은 한일신협약의 후속조치로 행해진 ‘군대해산’이었다. 그는 조국(祖國)이 군사력을 상실한 현실을 보고 의병운동을 골자로 한 항일운동을 하기위해 연해주로 떠난 것이다. 당시 연해주에는 망명한 전직 대한제국 관리들과 해산군인들, 독립 운동가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의병활동을 하기에 연해주는 적당한 곳이었다.
연해주에서 그는 의병(義兵)을 모집하기 위하여 그 지역을 돌아다니며 연설을 하였다. 연설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김삼웅,『안중근 평전』, 시대의 창, 2009.
김호일, 『대한국인 안중근』, 눈빛, 2010.
신운용, 「안중근의 의병투쟁과 활동」, 󰡔안중근과 그 시대󰡕, 경인문화사, 2009.
안중근, 『안응칠, 이토히로부미를 쏘다!』, 푸른나무, 2008.
안중근, 󰡔안중근 의사 자서전󰡕, 범우사, 2000.
이수광, 『안중근 불멸의 기억』, 추수밭, 2009.
이태진·조동성,『이토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IWELL, 2009.
황병웅, 『안중근을 보다』, 해피스토리, 2010.
中野泰雄, 김영광 역, 󰡔일본의 지성이 본 安重根󰡕, 경운출판사, 198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