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

 1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1
 2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2
 3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3
 4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4
 5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5
 6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6
 7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7
 8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8
 9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9
 10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10
 11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11
 12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옴므파탈, 우리 시대의 남성상 -김기영의 영화`하녀`와 임상수의 영화`하녀`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한국적 섹슈얼리티의 시대적 차이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서론
1.1. ‘나쁜 남자’의 대두와 영화
1.2. 두 시대의 가 각각 나타내고 있는 시대적 캐릭터
2.본론
2.1. 영화 분석
2.1.1. 시대․사회적 배경
2.1.2. 공간적 배경
2.2. 캐릭터 분석
2.2.1. 1960년 작 의 하녀 캐릭터 분석 - ‘팜므파탈’
2.2.2. 2010년 작 의 훈(남성)캐릭터 분석 - ‘옴므파탈’
2.3. 영화 장면 분석
2.3.1. 1960년 작 의 하녀를 바라보는 카메라 시각
2.3.2. 2010년 작 의 훈을 바라보는 카메라 시각
3.결론
3.1. 옴므파탈의 정의
3.2. 옴므파탈이 반영하고 있는 우리 시대의 사회적 욕망
3.2.1. 여성의 지위 향상: 여성의 남성 이미지 소비
3.2.2. 현대사회의 단면: ‘자아’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
3.3. 옴므파탈의 사회적 이미지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 모습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1.2. 공간적 배경

원작과 리메이크 작 모두 주요한 사건들은 집에서 발생하며 따라서 하녀를 들이게 되는 집이나 가정이라는 공간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60년 작 하녀의 경우에는 영화 속 대부분의 장면이 피아노실, 부엌, 방 등 집에만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살필 수 있다. 이는 한정된 공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갈등적 상황들에 대해 쉽게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답답함과, 억눌린 것들이 표출되지 못하고 집결되어 있는 공간이라는 느낌을 준다. 한편 그런 가운데서도 집의 다양하고 특징적인 디자인이나 곳곳의 장식등이 표현됨으로써 근대화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중산층 가정의 새로운 취향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집은 여러 장식으로 아기자기하고 이 중산층 가정은 언뜻 보기에 화목해보이지만, 집으로만 공간을 제한시키는 영화 속 공간 배경은 오히려 이 가정의 왜곡된 측면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가정에는 무슨 문제가 있는가. 영화의 내용을 주지하고 있다면, 가사를 돕도록 고용한 하녀가 집안에 들어옴으로써 주인남편과 미묘한 관계를 가지고 결국 가정을 파탄내고자하는 움직임들이 일었던 장소로서의 암울한 집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이 가운데 큰 역할을 하는 것은 계단이었다. 60년대 작 에 등장하는 집은 내부 복층구조의 집으로써 중산층의 부유함을 상징하는 동시에, 복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계단은 영화의 충격적인 사건들이 일어나는 주요 무대이기도 한데, 특히 장맛비가 퍼붓고 천둥이 치는 계절 배경에서 비오는 창과 함께 번번이 비쳐짐으로써 어둡고 음울한 느낌을 살려내게 된다. 계단을 중심에 놓고 등장인물들이 아래 위에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아슬아슬하고 위험스러운 인물들의 갈등을 잘 드러낸다. 또한 계단에서 이루어지는 끔찍한 장면들은 굉장히 섬뜩하다. 쥐약을 탄 물을 먹고 목을 부여잡으며 계단을 내려오려던 주인집의 아들은 결국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죽었으
참고문헌

4. 참고문헌

김성곤,『영화 속의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김소영,『한국영화 최고의 10경』, 현실문화연구, 2010.
이효인,『영화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 개마고원, 2003.
조선희,『클래식 중독 : 새것보다 짜릿한 한국 고전영화 이야기』, 마음산책, 2009.
앤소니 기든스 저, 권기돈 옮김,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