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

 1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
 2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2
 3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3
 4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4
 5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5
 6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6
 7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7
 8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8
 9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9
 10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0
 11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1
 12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2
 13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3
 14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4
 15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5
 16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6
 17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7
 18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8
 19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19
 20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 유충렬전 하늘에서 불러낸 난세의 영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작품 외적 문제

1. 작가 추정
2. 창작시기 추정
3. 자료실태

Ⅲ. 작품 내적 문제

1. 작품개괄
2. 줄거리
3. 인물분석
4. 배경
5. 비교연구

Ⅳ. 현대적 변용

1. 한담전
2. 유충렬 문화공간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영웅소설

주인공의 영웅적 삶을 그린 고전소설. 주인공의 영웅적 삶은 ‘영웅의 일생’이라는 영웅신화에서 추출된 서사유형을 근간 구조로 하고 있다.
영웅이란 보통사람보다 탁월한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서 개인의 이익이나 행복을 위해서보다는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위대한 일을 수행하고, 그 결과 집단의 추앙을 받게 되는 인물이다. 다시 말하여 개인적 가치보다도 집단적 가치를 우선하여 실현하고 성공한 인물이 영웅이다. 영웅은 그가 소속한 집단의 범주에 따라 씨족의 영웅, 부족의 영웅, 민족의 영웅, 국민의 영웅으로 나눌 수 있고 특정 집단의 권익보다도 모든 인류를 위해서 공헌한 인물을 문화영웅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물들은 대체로 정형화된 삶을 사는데, 신화에서 추출된 영웅들의 일생은 1. 고귀한 혈통 2. 비정상적 출생 3. 시련(기아) 4 구출자에 의하여 양육됨 5. 투쟁으로 위업을 이룸 6. 고향으로의 개선과 고귀한 지위의 획득 7. 신비한 죽음으로 요약할 수 있다.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빌기를 다한 후의 만심 고대하던 차에 한 꿈을 얻으니 천상으로서 오운(五雲)이 영롱하고 일원(一員) 선관(仙官)이 청룡을 타고 내려와 말하되, “나는 청룡을 차지한 선관이더니 익성(翼星)이 무도한 고로 상제(上帝)께 아뢰되, 익성을 취직하여 다른 방(方)으로 귀양을 보냈더니 익성이 그로 인하여 함심(含心-나쁜 마음을 품다)하여, 백옥루(白玉樓) 잔치시에 익성과 대전(大戰)한 후로 상제전에 득죄하여 인간에 내쳤으니, 갈 바를 모르더니 남악산 신령이 부인댁으로 지시하기로 왔사오니 부인은 애휼(愛恤-사랑하고 불쌍히 여김)하옵소서.” 하고 타고 온 청룡을 오운 간에 방송(放送)하며 왈, “일후 풍진(風塵) 중에 너를 다시 찾으리라.” 하고 부인 품에 달려들거늘,

위의 내용은 의 영웅소설적 면모가 드러나는 부분으로 소설 중 유충렬의 영웅적인 면모를 꿈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익성 선관과의 싸움이 지상세계에서도 계속 될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을 문체상으로 보았을 때 ‘유충렬전’은 내간체 문장의 바탕에 한문 역어체가 가미되어 진지하고 엄숙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보아, 이 역시 영웅 소설에 공통된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2) 군담소설
참고문헌
참고문헌

박일용「유충렬전의 서사구조와 소설사적 의미 재론」. 고전문학연구 8. 고전문학연구회. 1993.
박일용. 「유충렬전의 문체적 특징과 그 소설사적 의미」. 홍대논총 25. 홍익대출판부. 1994.
서대석. 「군담소설의 출현동인 반성」. 『고전문학연구』1집. 1971.
서대석. 「이조번안소설고」. 『국어국문학』52. 1971.
서대석. 「유충렬전의 종합적 검토」. 한국고전소설연구. 새문사. 1983.
이상택, 성현경. 「한국고전소설연구」. 새문사. 1983.
임치균. 「유충열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정규복. 「한국군담류소설에 끼친 삼국지연의 영향서설」. 『국문학』4.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0.
조동일. 「영웅소설 작품구조의 시대적 성격」. 『한국학론집』4집. 1976.
진경환. 「영웅소설의 통속성 재론」. 민족문학사연구 3호. 민족문학사연구회. 1993.
문방근, 「유충렬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김혜란, 「유충렬전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