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문법화

 1  [국어문법] 문법화-1
 2  [국어문법] 문법화-2
 3  [국어문법] 문법화-3
 4  [국어문법] 문법화-4
 5  [국어문법] 문법화-5
 6  [국어문법] 문법화-6
 7  [국어문법] 문법화-7
 8  [국어문법] 문법화-8
 9  [국어문법] 문법화-9
 10  [국어문법] 문법화-10
 11  [국어문법] 문법화-11
 12  [국어문법] 문법화-12
 13  [국어문법] 문법화-13
 14  [국어문법] 문법화-14
 15  [국어문법] 문법화-15
 16  [국어문법] 문법화-16
 17  [국어문법] 문법화-17
 18  [국어문법] 문법화-18
 19  [국어문법] 문법화-19
 20  [국어문법] 문법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 문법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법화의 개념

2. 문법화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들

3. 문법화의 분류
3.1. 결과에 따른 분류
3.2. 문법화 과정에 따른 분류
3.2.1. 형태의 축소가 계기가 되는 경우
3.2.2. 의미의 변화가 먼저 일어나는 경우
3.2.3. 문법적 대립의 상실에 의한 경우


3.3 기원에 따른 분류
3.3.1 명사의 문법화
1)자립명사의 접어화
2)의존명사의 조사화/접사화
3.3.2 동사의 문법화
1)비상적 기능의 문법화
2)상적 기능의 문법화

4. 문법화의 범주 설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3.2.1. 형태의 축소가 계기가 되는 경우

‘-단다’는 ‘-다고 한다’가 줄어 생겨난 형식이나, 둘 사이의 의미가 동일한 것은 아니다. (1), (2)은 이들의 예이며, (3)은 표준국어대사전(1999)의 뜻풀이를 옮긴 것이다.

(1) 가. 철수도 가겠다고 한다.
나. 철수도 가겠단다.
(2) 가. *나도 슬프다고 한다.
나. 나도 슬프단다.
(3) 가. 해라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주는 데 쓰는 종결어미. 친근하게 가르쳐 주거나 자랑하는 뜻이 비칠 때가 있다.
나. ‘-다고 한다’가 줄어든 말

(1)은 현대국어에서 ‘-다고 한다’와 ‘-단다’가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2)에서 보듯이 ‘-다고 한다’는 ‘-단다’의 기능 중 (3가)의 의미로 쓰일 수 없으나, ‘-단다’는 ‘-다고 한다’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후자이다. 만일 ‘-다고 한다’가 ‘일반화’나 ‘환유’, 혹은 화용론적 추론과 같은 의미변화를 겪고, 그 결과 하나의 단위로 재분석되어 ‘-단다’로 줄어들었다면, ‘-단다’는 의미변화의 결과 갖게 된 새로운 의미만을 가질 것이며, 의미변화 이전의 의미는 가질 수 없을 것이다. (3나)에서처럼 ‘-단다’가 ‘-다고 한다’의 의미로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은 의미변화를 겪은 경우만 줄어든 것이 아니라 ‘-다고 한다’의 용례 전체가 ‘-단다’로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의미변화와 상관없이 먼저 ‘-다고 한다’가 ‘-단다’로 줄어들고, 그 결과 생겨난 ‘-단다’가 이전의 의미를 유지한 채 (3가)의 의미를 새로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형태의 축소가 의미변화 혹은 문법화의 계기가 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3.2.2. 의미의 변화가 먼저 일어나는 경우

최근 일련의 연구 (나진석 1971, 임동훈 1996, 이병기 1997, 고광모 2002, 최동주 1992)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안주호, 한국문화사, 1997.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고영진, 국학자료원, 1997
『국어 동사의 문법화 연구』, 이태영, 한신문화사, 이성하, 1988.
『문법화의 이해』, 이성하, 한국문화사, 1998.
『문법화의 본질』, Kuteve·Tania·김주식, 한국문화사, 2006




이기갑, 「한국어의 문법화」, 언어와 문화 8, 목포대학교, 1993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1996
김현정, 「국어 명사의 문법화 과정 연구-어미화 과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7
박승윤, 「'밖에'의 문법화 현상」, 언어, p.57-70, 1997
강소영,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연구-'보문화소#보문명사+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1
이지양, 「문법화의 이론과 국어의 문법화」, 『정신문화연구 Vol.26』,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정언학, 「보조용언 구성의 문법화와 역사적 변화」, 『한국어학 Vol.35』,한국어학회, 2007
최동주, 「문법화의 유형과 기제」, 『민족문화논총 Vol.37』,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