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

 1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1
 2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2
 3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3
 4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4
 5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5
 6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6
 7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7
 8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8
 9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9
 10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10
 11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무가의 개론과 `바리데기`의 작품분석, 문화콘텐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2. 무가 개관
2-1. 무가의 정의
2-2. 무가의 역사적 전승
2-3. 무가의 형식적 절차
2-4. 무가의 특징
3. 무가 작품 분석 - 를 중심으로
3-1. 서사 무가
3-2. 내용 분석
3-3. 를 보는 다양한 관점
4. 무가 실용화 방안 - 의 보드게임화
4-1. 의 현대적 의의
4-2. 의 보드게임화
5. 결론
본문내용
3-2. 내용 분석

(1) 의 내용
'바리데기'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 만에 지내는 49제 때 하는 진오귀굿(오구굿, 씻김굿)에서 가창되는 무가로, ‘바리공주’라는 인물을 통한 오구신(무조신)의 내력 서술이 그 주된 내용이다. 전통설화에서 '바리데기'는 오귀대왕의 일곱째 공주로 태어나 버려진다. 하지만, 부모가 병이 들자 나머지 딸들은 약을 구해오기를 거절하고 바리데기만 저세상으로 가 온갖 고생 끝에 서천의 영약(생명수)을 구해 죽은 부모를 살린다. 이후 바리데기는 사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오구신으로서 무당의 원형으로 받들어지기도 하였다. 즉, 주인공인 '바리데기'의 일생은 '비정상적 혹은 비범한 탄생⇒ 버려짐⇒ 반복되는 고난⇒ 목적의 달성⇒ 신이 됨'으로 이어지는 영웅 신화의 전형적인 구조를 보이고 있다.
바리데기 신화의 내용 요약
1.어비대왕이 나라를 다스리며 살다.
2.복자의 말을 어기고 혼인한다.
3.공주만 여섯을 낳고 왕자를 낳지 못한다.
4.일곱째로 바리공주를 낳자 황천강에 버린다.
5.석가세존의 도움으로 바리공주가 바리공덕부부에게 거두어져 길러지다.
6.대왕부부가 정체불명의 병에 걸려 죽게 되다.
7.복자가 아기를 버린 죄값이라 말하고 생명수를 먹어야 낫는다고 예언한다.
8.딸들이 생명수 구하기를 거부하자 한 신하가 바리공주를 찾아 나서다.
9.바리공주가 궁궐로 돌아가 부모와 재회하다.
10.바리공주가 약을 찾아 길을 떠나다.
11.무장승을 만나 물 삼년, 불 삼년, 나무 삼년 해주다.
12.무장승과 결혼하여 아들 일곱을 낳다.
13.바리공주가 무장승과 함께 신약을 얻어 돌아오다.
14.바리공주가 부모를 회생시키다.
15.바리공주가 신의 뜻을 받아 이승과 저승을 관장하는 신의 역할을 맡다.


(2) 의 희생제의
문화영웅으로서 신화의 주인공들은 이중적, 양가적 성격을 지니는데, 바리데기의 경우 특히 두드러지는 이중성은 건국신화의 영웅들과는 좀 다른 양상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바리데기를 뿐만 아니라 모든 무속신화의 여성 주인공들은 위기상황일 때 이중적인 면모를 보이지 않으며, 시종일관 일정한 품성으로 위기를 극복한다. 오히려 이들에 대한 외부(사회적)의 판단이 이중적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바리데기 신화’의 경우 ‘딸(여성)’이라는 자질은 처음에는 부정적 가치판단을 하게 하는 자질이었다가, 이후 아버지를 구하고 아들을 출산하는 긍정적 자질로 변모한다. 바리데기가 여자였다가 남자로 변모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 부정시되던 자질을 자신의 희생을 통해 긍정적 자질로 바꾸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이중적 자질은 주인공의 희생제의 과정으로 정리되어 지는데, ‘바리데기 신화’에 대입시키면 다음과 같다.
(1)위계가 뚜렷한 사회가 존재하다.

(2)질서가 무차별화되는 위기가 도래하다.

(3)희생양의 징표가 드러나다

(4)희생양에게 박해가 가해지다

(5)희생을 통해 질서를 회복하다

(6)희생자가 신성화되다
①어비대왕 부부가 다스리는 안정된 사회가 있었다.
②대왕의 왕위를 이을 왕자가 태어나지 못했다./ 대왕부부가 죽게 되다.
③기다렸던 일곱째도 딸로 태어나다. / 바리데기는 언니와 달리 성품이 착하다.
④바리데기를 유기하다. / 바리데기가 고난의 구약여행을 떠나다.
⑤바리데기가 고난 끝에 약을 구해 대왕부부를 소생시키다.
⑥바리데기는 신직을 받다.

참고문헌

김정경, 「‘바리데기’의 텍스트성 연구」,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 2001.
오세정,「무속신화의 희생양과 희생제의 - ‘바리데기 신화’와 ‘제석본풀이’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오세정, 2001.
이희경,「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재해석」, 동서언론학회, 동서언론, 제13집 2010.
조흥윤, 『巫 - 한국무의 역사와 현상』, 민족사, 1997.
최래옥, 『한국구비문학론』, 제이엔씨,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