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

 1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
 2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2
 3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3
 4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4
 5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5
 6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6
 7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7
 8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8
 9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9
 10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0
 11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1
 12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2
 13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3
 14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4
 15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5
 16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무가 바리데기 작품 분석 및 보드게임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2. 무가 개관
2-1. 무가의 정의
2-2. 무가의 역사적 전승
2-3. 무가의 형식적 절차
2-4. 무가의 특징
3. 무가 작품 분석 - 를 중심으로
3-1. 서사 무가
3-2. 내용 분석
3-3. 를 보는 다양한 관점
4. 무가 실용화 방안 - 의 보드게임화
4-1. 의 현대적 의의
4-2. 의 보드게임화
4-3. 의 드라마 제작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무가는 구비문학 중에서도 주술성과 종교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갈래로써 신을 청자로 삼아 이루어지는 신과 인간의 대화이며 신에 대한 언어이다. 무가의 전통은 원시시대의 샤먼이 행하던 의례에서 시작하여 현대의 무당의 굿에 이르기까지 오랜 연원을 가진 장르이고, 무속이 민중들의 생사와 고락에 관련이 깊은 장르라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무가는 민중들의 생사와 고락을 위무하고 축원함으로서 긴 시간 함께 호흡해온 의미있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2. 무가 개관
2-1. 무가의 정의
무가란 무당(shaman)이 초자연계와 접촉하여 그 초월적인 힘에 의해 길흉화복 등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모든 욕구를 성취시키려는 전통적인 종교적 현상의 하나로,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종교의례인 굿을 할 때 신을 향해 구연하는 신가(神歌)라고 할 수 있다.

2-2. 무가의 역사적 전승
무속의 정확한 시원은 밝힐 수 없지만, 건국신화에 나타난 무속소(巫俗素)를 살펴보면, 무속이 민족의 기원과 더불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줄기차게 이어져 온 종교현상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무속과 무당의 역사적 이해에 실마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가의 형성 또한 고대 부족사회의 무속제전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우리 민족의 고유 신앙은 무속이었고, 불교와 도교 및 유교가 전래되기 이전에는 국가적 제전이 바로 무속제전이었다. 영고, 동맹, 무천 등 고대의 제천의식은 오늘날 대동굿이나 별신굿 등과 같은 부족공동의 무속제전이었다. 이러한 제전에서 인간의 소원을 신에게 비는 축원무가나 신의 근본과 신의 행적을 노래하는 서사무가, 그리고 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신의 행적을 행위로써 제시하는 희곡무가의 원형이 싹텄을 것이다. 최래옥, 『한국구비문학론』, 제이엔씨, 2009, p.242.

한국은 삼국시대 중국으로부터 유교 ․ 불교 ․ 도교가 수입된 이래 이들이 전통 무와 더불어 공존을 연출해가는 구도인 다종교 공존의 특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특성이 가장 여실히 드러난 시대는 고려조였다. 조흥윤, 『巫와 민족문화』, 1990, p.14, 조흥윤, 『巫 - 한국무의 역사와 현상』, 민족사, 1997, p.48에서 재인용.
이때 이 네 가지 신앙들의 관계는 평면적인 관계일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습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