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

 1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1
 2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2
 3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3
 4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4
 5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5
 6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6
 7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7
 8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8
 9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9
 10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제윤리론] 제6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가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자연주의 윤리관과 공리주의
제2절 동정과 동감의 가치
1.자기애의 가치
2. 도덕감의 가치
3. 사회적 시인의 가치
4. 옳은 행위의 기준으로서 공평한 관찰자
제3절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1. 벤담의 양적 쾌락의 가치
2. 벤담의 도덕기준
3. 밀의 질적 쾌락의 가치
4. 공리주의의 새로운 시도
제4절 바람직한 것의 가치: 실용주의적 접근
본문내용
제1절 자연주의 윤리관과 공리주의



자연주의적 윤리학 - 덕과 일치하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이 선이라고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출발. 관찰 가능하고 계량 가능한 자연적 대상들만이 존재한다고 봄.
인간의 욕구를 선이라고 주장한 자연주의 철학자 스피노자와 심리학의 영향으로 자연주의 윤리학이 발전되기 시작했으며, 이를 계기로 인간의 도덕적 가치가 물질적 가치로 대치됨.


홉스(Thomas Hobbes: 1588~1676) - 사회계약에 의해 도덕적 규범들이 창출된다고 보았으며 이로써 인간은 인간의 문제를 ⌜자기애⌟의 관점에서 이타심을 발휘함으로써 해결하기 이르렀다.


흄(David Hume: 1711~1776) - 도덕감에 의하여 동감과 동정, 그리고 인간애가 발로되며 이러한 도덕감이 사회적 시인을 얻을 때 도덕적 가치를 갖는다고 보았다.

아담스미스(Adam Smith 1723~1790) - 홉스의 ⌜자기애⌟와 흄의 ⌜동감⌟을 도덕적 기준으로 받아들임. 도덕정조론에서 동감과 자기애에 자본주의의 윤리적 기초를 놓았다.

벤담(Jeremy Bentham)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도덕의 기준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공리주의 기초를 놓았다.


듀이(John Dewey) - 벤담과 밀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과 욕망의 가치를 바람직한 것의 가치로 대체함으로써 가치의 과학화의 길을 열어 놓았다.

제2절 동정과 동감의 가치




1.자기애의 가치



홉스 : 인간은 자기 보존적 본능에서 유래하는 이기주의적 본성(자기애) 때문에 도덕적 삶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서 “모든 사람의 모든 사람에 대한 전쟁상태 하에서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배려함으로써 자기를 보존하기를 원하며 이를 위해서 많은 사람들의 참여 하에서 사회계약을 맺는다"고 한다.



인간이 자기보존을 위해서 사회계약을 체결할 때 창출 되는 도덕적 규범


정의(justice), 감사(gratitude), 준법(compliance), 용서(pardon), 공평(equity)

홉스는 자연주의적 이기주의자였다. 홉스가 말하는 이기심은 사회계약을 낳게 되는데 그것은 자기를 사랑하는 자기애의 발로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자기를 사랑하는 자기애와 이기심에 근거하여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법을 터득해왔다. 이것이 사회속에서 자기를 보존하고 표현하고 사랑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