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

 1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1
 2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2
 3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3
 4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4
 5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5
 6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6
 7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7
 8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8
 9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9
 10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10
 11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11
 12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통문화] 서울성곽(성북동 일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I. 성곽의 역사
1. 성곽의 기원 및 발전 과정
2. 서울성곽의 역사
3. 조선시대 성곽 건축의 특징

II.성곽이란 무엇인가
1. 성곽의 구성 요소
2. 성곽의 건축법

III. 서울성곽
1. 서울성곽 성북지구
2. 사대문과 사소문

부록
서울성곽 성북지구 주변 문화재

본문내용

1)성벽과 물매

성곽은 겉에 보이는 커다란 돌을 쌓고, 그 위에 여장을 올린 것이라 생각할지 모르나 성곽을 만드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석축 쌓기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돌을 뒤로 후퇴해 쌓음으로 석축이 안정되고 뒷면에 쌓은 흙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석축의 흐름을 잘 잡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삼국시대 석성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기법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한양 도성을 축조할 때에도 전반적으로 이용된 것을 현존하는 성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석축의 하부를 가장 수직에 가깝게 쌓고, 중앙부는 완만하게, 다시 상부는 치켜세우는 방법이다.
서울 성곽은 대체적으로 4.2m~5m 범위에 있으며 석축 하단과 상단의 수직 차는 대체로 1m 내외로 형성되었다.

2)뒷채움

성곽을 쌓을 위치를 결정하고 생토층이 노출되도록 표토를 걷어내고 생토층 지지력의 강약에 따라 기초 처리를 달리한다. 대체적으로 풍화암반이 고르게 발달한 산기슭의 능선을 따라 축조되기 때문에 지반이 튼튼한 경우에는 풍화토 또는 풍화암의 표면을 8척 정도 평평히 또는 계단 형으로 깎아내고 그 위에 바로 성곽을 축조한다. 반면 계곡 등에서 토질이 연약한 경우에는 깊게 파서 흙과 돌을 펴 깔고 달구질하여 차례 다져 올라와 성곽을 축조하게 된다.
석축의 첫 단인 지대석은 크고 넓적한 돌을 성곽 면보다 십오에서 25cm앞으로 내어 쌓는 것이 조선시대 성곽 축조의 한 특징이다. 그 위로 석재를 층지어 쌓으면서 석축 뒤편에는 생흙과 돌을 번갈아 펴 깔아 다지는 방법으로 석축과 뒷채움이 동시에 쌓아 올린다. 뒷채움이 이루어지는 내부 지반의 단단함에 따라 휴식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