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지를 통해 본 생명

 1  자유의지를 통해 본 생명-1
 2  자유의지를 통해 본 생명-2
 3  자유의지를 통해 본 생명-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유의지를 통해 본 생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물질대사를 통해 대상의 외부와 내부간의 물질들의 양적, 질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 서 새로운 물질이 합성되거나 기존의 물질이 분해되고 있는지
2) 개체의 특성이 유전자의 발현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생하고 세포분열로 생명체가 성 장을 하는지
3) 생명체의 외부조건에 상관없이 내부적 환경을 자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항상성이 발현되고 있는지
4) 종(種)을 유지시키기 위해 자신과 닮은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생식활동을 하는지
5)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생존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진화를 하는지
6) 위와 같은 생명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기본단위가 세포인지

이처럼 생명체의 기본특성들이 대상에서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관찰해본다면 생물이냐 아니냐는 비교적 명확한 기준을 기반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생명의 정의가 단순히 목숨이 붙어있는 상태에 한정되어 있다면 생명의 시작이 어디서부터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대답하기 어려워진다.

생명의 시작을 어디서부터 보느냐의 문제는 치료를 위해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은가에 대한 논쟁과 직결된다. 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거쳐 배아단계로 발전한 뒤 뼈, 간, 심장 등 각종 신체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배아의 특정 부분이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는 난치병의 치료와 거부반응이 적은 장기이식수술을 위한 만능세포로 불린다. 하지만 배아는 온전한 개체의 생명체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생명의 시작으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렇다면 다른 생명의 건강과 수명연장을 위해 아직 발생단계인 어린 생명체를 이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되긴 힘들 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여 인간의 형상을 갖추었을 때 비로소 온전한 생명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반박하기도 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도 단순히 살아있음을 떠나 생명의 시작과 끝을 어디서부터 구분해야 되는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에라스무스 다윈은 1794년에 새끼를 새로운 동물이라고 부르는 데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 이유는 새끼가 어미의 기질을 일부 가지고 있는, 어미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만약 특정 생물체를 죽이고 그 개체의 세포를 분리해내 배양하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