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

 1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1
 2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2
 3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3
 4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4
 5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5
 6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교문학] 고려시대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불교

고려 시대의 문학

⑴ 정의

⑵ 시대적 배경

⑶ 고려 시대의 문자 생활

2) 고려의 불교문학 개관

설화의 특징

〔분 류〕

(1) 전승자의 태도

(2) 시간과 장소

(3) 증거물

(4) 주인공 및 그 행위

(5) 전승의 범위

〔의 의〕


본문내용
2) 고려의 불교문학 개관
고려시기에 들어서 맨 처음 주목할 것은 혁련정이 지은 ‘균여전’이다. 신라 승전처럼 설화적 상상에 의한 인생의 재구라는 전통을 수용했을 뿐더러 최치원 찬술의 ‘의상전’과 같이 10과로 생을 단락 짓고 화엄 교학의 표방이란 중의적 서술 방식을 택하고 있어 독창적이다. 이런 사적 승전찬술의 전통 및 중국승전의 유입은 신라 김대문의 ‘고승전’이래 오래도록 침묵을 하던 승전 찬술에 불을 지폈다.
고려 중기에 이르면 종합적 체재의 승전인 각훈선사의 ‘해동고승전’이 출현하게 된다. ‘해동고승전’은 삼국 승사의 표방에 그치지 않고 외세에 대응하여 민족적 정체성을 드높이겠다는 의지가 이면에 깔려있었다. ‘해동고승전’보다 70년 후에 찬술된 ‘삼국유사’는 신라 설화의 총체적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 작품으로, 그 시야를 불사에서 일반 문화사까지 확장시켜 일종의 삼국의 불교 문화사를 꾀했다고 여겨진다.
한편 전기문학으로 이를 주목할 경우, 의해 감통 신주 같은 편목에서 보듯 승려들의 삶을 대상으로 삼더라도 설화와 역사의 사이를 교묘하게 넘나듦으로써 이전 승전에서 보지 못했던 독특한 서사 미학을 창출해 보여주었다고 할 것이다. 고승들의 삶에 대한 관심과 찬술에 비할 때 미미했던 불전적 관심이 고려 말 운묵에 의해서 ‘석가여래행적송’으로 개화된다. 이는 전의 산문들과 달리 서사시를 통해 석가의 일대기를 노래한 것인데 조선 초 국문활용의 시험적 대상으로 알고 있는 ‘월인석보’도 기실 이 작품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마저 가능케 한다.
다음으로 대략적이나마 고려 불교시가에 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 고려 초기는 역시 ‘균여전’에 소개된 균에의 ‘보현십원가’가 향가의 후대의 자취라 하여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13세기까지 향가가 불렸다는 국문학사적 사실의 규명 뿐 아니라 이 11수의 노래들이 한결같이 향가의 불찬적 이식이라는 데서 그 가치가 높다. 즉 ‘균여전’ 수록의 이 찬불가들은 한결같이 수월하게 이해할 말로 심오한 불교적 가르침으로 인도한다는 수용 미학적 배려에서 나온 것임을 보여준다. 마지막 한 중생을 인도할 때까지 자신의 몸을 다 바치겠다는 보
참고문헌
≪참고문헌≫ 朝鮮民族說話의 硏究(孫晉泰, 乙酉文化社, 1947), 韓國說話文學硏究(張德順, 서울大學校出版部, 1970), 口碑文學槪說(張德順 外, 一潮閣, 1971), 韓國口碑文學選集(韓國口碑文學會, 一潮閣, 1977), 우리 民俗文學의 理解(김열규 외, 開文社, 1979),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韓國口碑傳說의 硏究(崔來沃, 一潮閣, 1981), 民談學槪論(金烈圭 外, 一潮閣, 1982), 韓國說話의 類型(曺喜雄, 一潮閣,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