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

 1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1
 2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2
 3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3
 4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4
 5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5
 6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6
 7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7
 8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8
 9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9
 10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10
 11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11
 12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목민심서 기예론과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론
II. 다산의 기예론(技藝論)
1. 실학의 발달과 다산의 기예론
2. 기예론의 한계점
III. 현대 이공계 기피현상
1. 과학기술인력의 중요성
2.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
1)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의 배경
2) 한국의 이공계 기피현상의 원인
3. 외국의 이공계 기피현상 : 미국
4. 외국의 이공계 기피현상 : 일본
5. 한국 이공계 기피현상 극복
I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농기구를 만들어서 농민들의 경작을 권장하도록 하고, 베틀을 만들어서 부녀자들의 길쌈을 권장하는 것은 목민관의 직책일 것이다. 손수레를 만들어서 농사일을 권장하고, 병선을 만들어서 전쟁에 대비하는 것도 목민관의 직분일 것이다. 벽돌 굽는 법을 가르치고, 따라서 기와도 굽게 하여 온 성안을 기와집이 되게 한다면 그것도 잘하는 정책일 것이다. 《牧民心書》, 公典六條, 匠作, 성낙범, , 석사 학위논문,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7, p.52에서 재인용.


다산은 기예론에서 금수는 발톱, 뿔, 단단한 발굽, 날카로운 이, 독 등이 있지만 사람에게는 그러한 것이 주어지지 않은 대신에 기예를 익혀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다고 하였다. 《與猶堂全書》, 第一集詩文集第十一卷, 論 , 技藝論一, 머저리, “다산 정약용,” 2010. 3. 23.
에서 재인용.
따라서 다산은 국가차원에서 새로운 서적을 구하여 읽고 기예를 익히며, 외국에 나가서도 새로운 기예를 배워와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백성을 다스리는 목민관또한 산업에 대한 지식을 익혀 백성들에게 기예교육을 시행해서 기술방법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부국강병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백성의 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2. 기예론의 한계점

다산은 사회 여러 분야의 기예교육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그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됨으로써 백성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그 중에서 농업기술개발과 관련해 살펴보면 농사를 직접 짓는 농민의 경험에 의한 것이 물론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새로운 기술의 도입 또는 강구에는 일정한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식인들의 역할을 배제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서 중국의 신식 기술이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것을 물으려 하지도 않고 배우려 하지도 않는 지배층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근본 원인을 지식인들이 가졌던 학문에 있어서의 편협함에서 찾고자 하였던 것이다. 물론 다산이 유교경전을 전적으로 경시하는 입장에 있지 않았다. 다산의 주장은 유교경전의 해석에 있어서 당시 지식층의 학문관과 인식이 유학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는 점에 그 비판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런 다산의 기예교육의 중요성 강조는 혁신적인 사고로 오늘날 과학기술 및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익석, , 박사 학위논문, 호남대학교, 2005.
 마이니치신문 과학환경부, 《이공계 살리기》, 김범성 역, 사이언스북스, 2004.
 머저리, “다산 정약용,” 2010. 3. 23.
.
 성낙범, , 석사 학위논문,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7.
 신용하, 《朝鮮後期 實學派의 社會思想硏究》, 지식산업사, 1997.
 정영, , 박사 학위논문, 원광대 대학원, 2005.
 조황희 외, , 연구보고서, 과학기술연구원, 2001.
 필립, “한국과학기술인연합”, 2002. 8. 17.
.
 한국철학사 연구회, 《한국 실학 사상사》, 다운샘,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