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정조와 노론

 1  [한국사] 정조와 노론-1
 2  [한국사] 정조와 노론-2
 3  [한국사] 정조와 노론-3
 4  [한국사] 정조와 노론-4
 5  [한국사] 정조와 노론-5
 6  [한국사] 정조와 노론-6
 7  [한국사] 정조와 노론-7
 8  [한국사] 정조와 노론-8
 9  [한국사] 정조와 노론-9
 10  [한국사] 정조와 노론-10
 11  [한국사] 정조와 노론-11
 12  [한국사] 정조와 노론-12
 13  [한국사] 정조와 노론-13
 14  [한국사] 정조와 노론-14
 15  [한국사] 정조와 노론-15
 16  [한국사] 정조와 노론-16
 17  [한국사] 정조와 노론-17
 18  [한국사] 정조와 노론-18
 19  [한국사] 정조와 노론-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정조와 노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머 리 말



□ 본론

Ⅰ. 정조와 노론



Ⅱ. 정조의 업적


Ⅲ. 어찰을 통한 정조의 재조명
1. 인사측면
2. 정치측면
3. 개인신상과 감정에 대한 측면



□ 맺 음 말
본문내용
◆ 본 론

정 조 와 노 론

정조가 추구한 것은 오로지 왕도정치의 구현이었다. 불과 11살 무렵, 노론(老論)에 의해 아버지(사도세자)가 죽는 것을 지켜 보아야 했던 정조이기에, 노론의 전횡에 휘둘려지는 조선을 다시 왕에 의해 다스려지는 왕의 나라로 되돌려 놓고 싶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정조는 어찌하여 왕도정치를 추구하는 데에 가장 걸림돌이 되는 노론의 일파인 김조순(金祖淳)을 외척으로 끌어들이는 등 결국 노론과 타협하고 말았나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의 배경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당시의 조선은 노론의 나라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고, 정조에게는 그들에게 대항할 만한 힘이 없었기 때문이다. 원래 노론은 기호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기호사림(畿湖士林)에서 시작되었다. 이들 기호사림이 중앙 정계에 진출할 즈음 조선을 지배하고 있던 훈구파들과 싸우고 갈등하다가 끝내는 선조 이후, 훈구파를 완전히 흡수하게 되어 서인(西人)이라는 새로운 당파로 변신한다. 그래서 원래 훈구파의 소유였던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게 된다. 또한 이처럼 기호의 광대한 농지를 소유한 대지주였던 그들을 호남의 대지주들이 후원하고 있었다. 그것은 호남의 동인(東人)들이 서인이었던 정철의 기축옥사로 사라지면서 서인이 주도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서인들은 다시 노론과 소론(少論)으로 갈라지게 된다. 그리고 경종대와 영조대에 소론과 대립하면서 조정을 주도하였던 노론에 경상(京商)이라 할 시전상인이 합세한다.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추구를 위해 기득권 세력인 노론과 결탁한 것이다. 여기에 만상(灣商)도 추가된다. 만상은 의주를 중심으로 청과의 국경지대에서 밀무역을 독점하였는데, 이를 눈감아 줄 정치권력의 필요성을 느낀 것이다. 한 마디로 당시 노론은 서인시절부터 이어온 기호와 호남의 농업자본은 물론, 경상과 만상 등의 상업자본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경제 전반을 지배하고 있었던 것이다. 일례로 수도권을 방어하던 오군영만 하더라도 수뇌부를 장악한 노론으로부터 녹봉 이상의 용채(용돈)를 받아 쓰는 이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런 노론은 남인계열인 장희빈에 의해 인현왕후 민씨가 밀려나는 상황에 이르자 당시 무수리로 있던 숙빈 최씨에게 숙종과 동침을 하게 한다. 그리고 장희빈의 아들인 경종이 일찍 죽고, 그의 이복동생이자 숙빈 최씨의 아들이며 노론에 의해 태어났다고 할 수 있는 연잉군이 보위에 올라 영조가 되자 왕세제 시절부터 그를 지지했던 노론의 권세는 하늘을 찌르게 된다.
참고문헌

실록청, 정조실록(正祖實錄), 1805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진재교, 안대회,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 2009
실록청, 영조실록(英祖實錄)
이중환. ≪택리지≫, 1751
정약용, ≪목민심서≫, 1818
정약용, ≪경세유표≫, 1817
장유승,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의 사료적 성격, 2009
박철상, 정조어찰첩(正祖御札帖)』의 자료적(資料的) 가치(價値), 2009
백승호,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내용 개관, 2009
안대회, 어찰첩(御札帖)으로 본 정조(正祖)의 인간적 면모, 2009
김문식, 정조(正祖) 말년의 정국 운영과 심환지(沈煥之),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