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

 1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
 2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2
 3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3
 4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4
 5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5
 6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6
 7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7
 8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8
 9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9
 10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0
 11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1
 12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2
 13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3
 14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4
 15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5
 16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화] `열하일기`를 통해 본 청나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II. 본론

1.『열하일기』 탄생과 그 배경.

1) 『열하일기』집필 목적 ; 조선의 변화를 꿈꾸며

2)『열하일기』 탄생에 영향을 미친 연행록들.


2. 청의 문화를 수용하는 박지원의 시각

1) 조선의 경제 부흥을 위한 실사구시적 수용

가. 수레 ; 경제 유통의 수단
나. 마종 ; 농업과 국방의 부흥을 위한 수단

2) 유교 중심의 사대주의적 문화 수용

가. 황교 ; 유교 중심의 시각
나. 벽돌과 가마 ; 지역과 토양이 무시된 수용


Ⅲ. 결론
현 시대에 우리가 열하일기를 통해 배워야할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청의 문화를 수용하는 박지원의 시각

1) 조선의 경제 부흥을 위한 실사구시적 수용

‘이용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삶을 두텁게 할 수 있고 삶을 두텁게 한 뒤에야 덕을 바로 할 수 있다. 물건을 이롭게 쓸 줄 모르고 삶을 두텁게 할 수는 없으며 삶이 두텁지 못하면 어떻게 덕을 바로 할 수 있는 가’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출판사, 2003, 147쪽
.

박지원은 당시의 조선은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적 관념과 형이상이학적인 문화에 빠져 청나라의 자연과학 방면의 기술을 배우지 못하였고 조선의 낙후한 정세를 바로 잡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일신수필 박지원, 『열하일기』 (일신수필) 신광년에서 산해관에 이르는 9일간의 기록, 수레의 제도를 비롯한 중국 여러 제도에 관한 기록, 앞에 서문을 달아 ‘이용후생’에 관한 논평을 실었음.
」, 「태학유관록 박지원, 『열하일기』 「태학유관록」 열하의 태학에서 6일 동안 머문 기록, 당대 명망 있는 학자들과 조선과 중국의 문물제도에 관해 논하고 있는 부분.
」을 통해 박지원이 청나라로부터 수용하자고한 선진문물에 대해 알아보자.

가. 수레 ; 경제 유통의 수단

이러므로 중국의 재산이 풍족한 뿐더러 한 곳에 지체되지 않고 골고루 유통함은 모두 수레를 쓴 이익일 것이다. 박지원, 『열하일기』 「일신수필」, 거제


이 대목은 청나라의 국내 무역에서 차제(車制) 수레에 관한 제도라는 뜻으로, 운수(運輸)에 관련된 제도를 이르는 말.
가 경제적 발전이 조선과는 다른 결과를 가지고온 직적접인 영향 이라고 박지원은 말하고 있다.
박지원은 당시 조선의 수레를 ‘수레가 없지는 않으나 바퀴가 완전히 둥글지 않고 바퀴 자국이 한 궤도를 그리지 못하니, 수레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출판사, 2003, 153쪽
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의 사대부들은 “우리나라는 마을이 험준하여 수레를 쓸 수 없다”고 말하곤 한다. 박지원은 청나라의 지형이 조선보다 더 험준한데 수레로 다니면서 무역을 통해 발전해 왔다고 했다. 중용(中庸) 중국 유교 경전의 하나. 공자(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저작이라 알려졌다.
에 이르기를, “배와 수레 이르는 곳, 서리와 이슬이 내리는 곳.”이라 비유를 하는데 당시 사대부의 생각은 사태를 왜곡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박지원은 이러한 언어도단을 조선의 경제적 정체를 낙후된 수레제도에서 보고 있다.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 박지원,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上,下,』 고미숙외 엮음, 그린비출판사, 2008
○ 박지원, 『열하일기』, 민족문화주진회 엮음, 2006
○ 고미숙,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출판사, 2003
○ 박지원, 『열하일기(시대정신을 일깨운 파격적 기행문학)』, 김문수엮음, 돋을새김출판사, 2008
○ 박지원, 『열하일기(우리가 정말 알아야 하 우리 고전)』, 허경진외, 현암사, 2009
○ 박지원, 『열하일기』, 강경숙 엮음 ,위너스초이스 ,2006

논문

○ 최소자, , 2007
○ 사명동, , 청주대 대학원, 2009
○ 진빙빙, , 성균관대대학원, 2008
○ 차혜원, ,역사비평, 93호, 2010
○ 사명동, , 청주대 대학원, 2009
○ 윤진영, , 이화여대대학원, 2005
○ 우창호, , 국어교육연구, 1994
○ 김상조,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 우묘, . 국민대학원. 2006

출처

출처_KRPIA 한국고전번역원 고전 번역서
http://www.krpia.co.kr/pNationalKnowledge/nKnowledge_content_view.asp?c_code=KC_MK&art_id=kc_mk_h008&btn1=&btn2=&kwd=%EC%97%B4%ED%95%98%EC%9D%BC%EA%B8%B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