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

 1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
 2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2
 3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3
 4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4
 5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5
 6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6
 7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7
 8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8
 9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9
 10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0
 11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1
 12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2
 13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3
 14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 전라도 방언 특성, 특징 및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아따 거시기랑께! - 전라도 방언
방언이란 무엇인가?

방언의 개념

방언의 크기

지역방언(地域方言)과 사회방언(社會方言)

사회방언(社會方言)

전북방언의 특성

전북방언의 음운론적 특성

1. 곡용의 음운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2. 활용의 음운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전북방언의 형태론적 특성
1.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특성
2. 상대높임의 형태론적 특성
3. 조사의 형태론적 특성
4. 어휘적 특성

전남 방언의 특징

음운론적 특징

1. 오>우의 변화 (단어→부사어, 문법 형태소로 확장)

2. 단모음의 교체현상
3. ㅣ모음 동화 현상(Umlaut)
4. 중모음의 단모음화
5. 구개음화
6. 어말자음의 중화현상
형태론적 특징

1. 연결어미
1.1 대등접속, 종속접속, 내포접속으로 두루 쓰임: -고
1.2 대등접속이나 종속접속으로 쓰인 연결어미: -음시로/-음서
1.3 종속접속으로만 쓰인 연결어미중 심 의 미
연 결 어 미
인과성
-응께, -아서/어서, -가니/간디, -길레, -으니라고
조건성
-으면, -그등/그든
양보성
-드래도, -을찌래도, -다고, -제만, -내이나, -음시로
상황성
-은디, -드니, -아도/어도, -아서/어서
시간성
-자, -고서
전환성
-다/다가
비례성
-을수록/을시록
비교성
-으니
추측성
-으까이
목적성
-으로

2. 명사 파생 접미사
2.1 -가심

2.2 -거리

2.3 -데기/뎅이/떼기 (주로 비하의 뜻을 지니며 특히 신체의 일부분을 가리키는데 쓰인다.)

2.4 -보

3. 형용사 파생 접미사

통사론적 특징

1. 부정법
(1) 어미 -지의 제한적 쓰임
(2)안 허다의 쓰임

(3) 있-과 알-의 부정

(4) 보조동사의 부정

2. 청자대우법
방언과 문학

문학속의 방언의 효과

1) 향토적 특성, 심미성, 민족(부락)의식 등 정서적 층위를 드러내는 효과가 있다.

2) 형식적 측면에서 시어, 율격, 음운 등의 표현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3) 인물의 개성적 성격을 묘사할 수 있다.

방언과 판소리

판소리와 전라도방언의 음운적 관계

판소리계 소설과 전라도 방언
판소리계 소설에서 나타나는 전라도 방언의 예
본문내용
방언의 크기

한 언어의 방언들은 대체로 애초에는 한 가지 모습만을 가졌다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러 지역에서 각각 다른 모습으로 변화를 일으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한 모체로부터의 분화체인 것이다. 이 언어의 분화는 그 폭이 아주 커지면 아예 다른 언어로 갈리기도 한다. 가령 한국어와 만주어는 애초 알타이 조어로부터 분화되기 시작할 무렵에는 방언 차 정도의 조그만 차이밖에 없는 사이였겠지만 이 차이가 점차 커져서 드디어는 별개 언어로 분립하게 된 것이다.
한 언어의 방언이란 이처럼 별개 언어로 분립할 정도의 큰 분화를 일으키지 않은, 적어도 한 언어로서의 공통점을 유지하는 한도 안에서의 분화만을 거친 분화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분화의 크기는 이 경우에도 일정하지 않다. 한 언어 안에서의 언어분화라 할지라도 여러 층위에서 갖가지 다른 이유로 갖가지 다른 크기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가령 같은 제주도 안이라 하더라도 한라산 북쪽과 남쪽의 말이 갈릴 수 있고, 또 같은 남쪽 지역이라 하더라도 산간지방과 해안지방 사이에서 다시 언어분화를 일으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