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

 1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1
 2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2
 3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3
 4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4
 5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5
 6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6
 7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7
 8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8
 9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9
 10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유형,중요성,도예실,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지도과정,실제,문제점,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유형
1. 자아 중심의 활동
2. 재료 용구의 중심의 활동
3. 감상 중심의 활동
4. 문제 해결 중심의 활동
5. 생활자기의 중심의 활동
6. 가치 이해 중심의 활동

Ⅲ.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중요성
1. 첫째
2. 둘째
3. 셋째
4. 넷째

Ⅳ.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도예실
1. 교과교육실(도예실)의 의의
2. 교과교육실(도예실)의 필요성

Ⅴ.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지도과정
1. 진단
2. 계획
3. 기초 기능의 지도
4. 실제 제작
5. 장식하기
6. 건조
7. 소성

Ⅵ.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실제
1. 발상 단계의 지도
2. 표현 활동의 지도
1) 흙
2) 그릇 성형
3) 점토판에 부조로 표현하기
4) 장식용 벽걸이 만들기

Ⅶ.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문제점

Ⅷ. 도자기공예교육(도자공예수업)의 효과
1. 아이들
2. 교직원
3. 학부모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요즘 아이들은 미술시간에 활동하는 것은 적극적으로 참여해도 이론적으로 배우는 것은 매우 싫어하고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초적인 조형이론과 공예의 특성을 모르고는 수업을 진행할 수 없기에 역사적인 사실과 연결하여 흥미를 잃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공예의 종류와 도자 공예에 관한 이론을 수업 중에 실시하였다.
깊이 있는 이론은 지양하고 간단히 토기, 도기, 자기를 설명하면서 도자기라는 명칭을 이해시켰고 사이버 박물관을 이용하여 토우 및 각 시대별 대표적인 도자기의 종류에 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도예는 흙을 이용하여 만들어 생활에 사용하는 것이 전통적인 관점이지만 현대에 와서는 조소의 개념을 도입하여 현대도예라는 전통도예와 차이가 나는 작품이 제작되는 추세를 바탕으로 아이들에게 꼭 찻잔이나 그릇 등을 만드는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시킴으로써 앞으로 연구를 전개함에 있어 아이들의 창의성이 흙을 이용한 미술 전 분야와 접목하여 나타날 수 있도록 수업을 전개하였다.
아이들은 딱딱한 미술이론 시간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몰랐던 사실들을 유물과 연결하여 배움으로써 아주 흥미 있게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자가 수업을 끝낸 후에도 한동안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명한 박물관을 접속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태도를 보였다.
흙은 도예와 절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이들은 지점토나 문방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기존의 흙과 뭔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쉽게 파악하였다. 점토의 성질과 그 종류를 모르고는 도예를 이해할 수 없으며 어느 장르이던 사용해야 할 재료를 충분히 파악해야 좋은 표현활동을 가져올 수 있다.
참고문헌
김광문(1985), 도자기 공예Ⅰ, 한국직업훈련관리공단
권준범(1997), 도자공예의 지도원리, 사향미술논총 제5집
강경숙(1989), 한국 도자사, 일지사
윤용이(1996),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임영방(1976), 미술교육,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정양모(1992), 한국의 도자기, 서울 : 문예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