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

 1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1
 2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2
 3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3
 4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4
 5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5
 6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6
 7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7
 8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8
 9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9
 10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10
 11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11
 12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특수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특수어
1. 정의
2. 분류
(1) 은어
(2) 비속어
(3) 유행어
(4) 기타 변형 어휘

Ⅱ. 특수어와 한국문화
1. 언어와 한국문화
2. 특수어와 문화의 상호작용
3. 민속 문화와 특수어
(1) 탈춤과 특수어
(2) 판소리의 은어
(3) 무당의 은어

Ⅲ. 특수어 사용의 문제점

Ⅳ. 結

Ⅴ. 참고 자료

본문내용
2)그 외의 표현
통신 언어에는 사투리 발음( 예 )이나 유아적 표현( 예 )도 거르지 않고 그대로 노출시키는 표현들이 보인다. 이러한 표현들은 유머스런 표현이나 애교스러운 친밀감 등을 반영한다.
-사투리나 유아적 표현의 예
잘혀(잘해), 핵교(학교), 엄미(어머니), 야그(이야기), 디지게(굉장히, 무진장)
누꼬, 누갸(누구니), 뽀사지는(부서지는), 구여버(귀여워), 하는감(하는가)
괘아나(괜찮아), 안타깝네요잉(안따깝네요)
뱅기(비행기), 먹었져(먹었어), 가자, 까까(과자)
맘마(밥), 아탕(사탕)



Ⅱ. 특수어와 한국문화
1.언어와 한국문화

언어의 의미구조는 언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이와 같이 언어는 그 말을 쓰고 있는 사람들의 문화적인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 보기를 들면, 를 나타내는 우리말은 ‘언니’와 ‘아우’로 나누어지는데, 영국말에서는 ‘brother’란 한 말이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즉, 같은 분야가 영국말에서는 한 말로써 채워져 있는데, 우리말에서는 와 로 나뉘어져 있다. 이로써, 동양 특히 우리나라는 나이에 대한 서열에 관심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사회의 관심이 언어의 의미구조에 반영되어, 언어의 특성을 결정짓는다. 언어란 본래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교환하는 수단이며, 한 민족의 정신적 단결을 이루는 기초가 되는 동시에 사회의 공기요, 한 민족문화의 뼈와 살이 되는 총결정체인 것이다. 이러한 언어는 언중, 즉 일반 국민의 소유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독특한 문화 형성과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생성하고 변화하며 소멸하게 된다. 한데, 언중 또한 다양한 지위와 계층을가진 집단들로 분화되기 마련이라, 이와 관련하여 기존 언어와는 다르게 생성된 특수어로 해당 문화가 형성된 역사적・문화적 배경이나 특수어를 사용하는 집
참고문헌

Ⅴ. 참고 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4159
기독교타임즈 http://www.km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6124
국악음반박물관 http://www.hearkorea.com/gododata/gododata.html?g_id=8&g_no=17114
뉴스사천 http://www.news4000.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2
눈높이대백과 http://newdle.noonnoppi.com/xmlView.aspx?xmldid=19550
비어와 속어와 비속어
http://blog.naver.com/bluesky_0725?Redirect=Log&logNo=120112776308
세습무의 은어 분석
http://cafe.naver.com/jy3000.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7
한국무속론, 최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