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

 1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1
 2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2
 3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3
 4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4
 5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5
 6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6
 7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7
 8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8
 9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판소리]판소리의 의미,성격, 판소리의 변천,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기보법, 판소리의 웃음, 판소리와 가면극, 판소리 관련 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판소리의 의미

Ⅲ. 판소리의 성격

Ⅳ. 판소리의 변천

Ⅴ. 판소리의 장단
1. 진양조(진양)
2. 중모리
3. 중중모리
4. 자진모리
5. 휘모리
6. 엇모리
7. 엇중모리

Ⅵ. 판소리의 기보법

Ⅶ. 판소리의 웃음

Ⅷ. 판소리와 가면극
1. 판소리와 가면극의 공통점
2. 판소리와 가면극의 차이점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고종 말기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원각사라는 현대 극장이 세워지자 일본에서 "가부끼"를 보고 온 이인직이 무대에서 판소리 가수들에게 배역을 나누어 맡아 판소리를 부르게 하였는데 이것을 "창극"라고 불렀다. 창극은 인기가 대단하여 「춘향전」, 「심청전」과 같은 전통 판소리뿐만 아니라 「치악산」과 같은 많은 창작 창극이 생겼다. 일제 시대에는 무수한 창극 단체가 생기고 여기에 많은 판소리 가수들이 몸을 담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판소리 가수들은 정통 판소리를 수련하는 것보다 새로 창작되는 창극의 대사와 거기에 날림으로 붙여진 소리를 익히기에 나날을 보내게 되어 순수한 판소리의 전승이 어렵게 되었었다. 이렇게 날림으로 지어진 소리를 "창극 소리"라고 부르는데 이 소리에 물든 판소리 가수들이 판소리를 창극 소리조로 불러서 정통적인 가락을 망치는 일이 생겼다.
또 공연에 앞서서 가수들에게 돌아가며 판소리 한 대목을 부르게 하는 것이 유행했는데 판소리를 배우는 사람들도 무대에서 인기를 얻는 대목만 골라서 공부하게 되어 판소리 전판을 공부하지 않고 토막 소리만 공부하는 폐단이 생기고 말았다. 창극이 유행해서 창극조가 휩쓸게 되고 또 일제 때의 명창인 정 정렬은 춘향가를 자기가 새로 짜서 불렀는데 이 소리가 크게 인기가 있어서 판소리를 배우는 사람들도 옛 판소리보다 정 정렬의 새로운 판소리에 열을 올렸다. 1950년대에는 영화에 밀려 창극도 점차로 사라지고 말았지만 창극 소리의 유행과 토막 소리의 풍조는 정통으로 내려온 고제 판소리를 많이 소멸시키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 통에 정통의 판소리를 이어받아 명창으로 이름을 날린 이동백, 김창용, 전도성, 장판계 들의 소리제는 영원히 끊어지고 말았다.
참고문헌
ⅰ. 김광순, 한국고소설사와 론, 새문사
ⅱ. 김종철(1993), 19세기20세기 초 판소리 변모양상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ⅲ. 설중환, 판소리사설연구, 국학자료원
ⅳ. 이성제, 국악길라잡이, 서울미디어
ⅴ. 정병옥,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ⅵ. 조재철(1987), 판소리 연구 : 미적 표상으로서 한을 중심으로, 원광대 국문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ⅶ. 최상수(1985), 산대·성황신제 가면극의 연구, 양주 산대 놀이, 성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