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

 1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
 2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2
 3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3
 4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4
 5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5
 6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6
 7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7
 8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8
 9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9
 10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0
 11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1
 12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2
 13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3
 14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4
 15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5
 16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6
 17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7
 18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8
 19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19
 20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외교사] 일본의 한국병합과 식민지시대 한일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범위·접근방법
Ⅱ. 일본의 한국병합
1. 병합과정
2. 국권수호운동
⑴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⑵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3. 조선은 왜 일본에 병합되었을까
⑴ 국제적인 상황
⑵ 일본 국내적인 요인
⑶ 조선 국내적인 요인
Ⅲ. 일본의 식민정책
Ⅳ. 민족적 자각과 독립운동
1. 1919년의 3 1독립운동
2. 1919년 이후의 독립운동
⑴ 정치적 민족운동
⑵ 경제적 민족운동
⑶ 사회적 민족운동
⑷ 문화적 민족운동
Ⅴ.일제 식민치하에서의 외교의 과제와 방향
1. 식민치하의 외교를 어떻게 다룰것인가?
2. 식민지화의 외교사적 의미
3. 민족외교의 목표와 방향
Ⅵ. 임시정부의 외교활동(1919∼1945)
1. 상해임정시대의 외교(1919∼1932)
2. 중경시대 승인외교(1940∼1945)
3. 임정외교사가 주는 교훈
Ⅶ. 식민지 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1. 식민지수탈론(내재적 발전론)
2. 식민지근대화론
3. 식민지 시대의 쟁점
Ⅷ. 결 론
본문내용
1. 문제제기

지난 28일, 북한 납치문제 모임에 참석한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가 "일본은 무력으로 (한반도를)를 침범한게 아니라. 한반도가 분열돼서 의견 취합이 안되니까, 그들의 총의로 러시아, 지나, 일본을 선택할지를 생각한 것이며, 근대화가 크게 진전되고 같은 얼굴색을 한 일본인의 도움을 얻으려고 해서 세계 각국의 하의 아래 합병이 이뤄졌다. 합방의 시비를 가리자면 (조선인)선조의 책임이며, 식민주의라고 해도 좀더 선진화된 것이었기 때문에 인간적이었다."는 망언을 하였다. 이러한 망언에 가세한 또 한사람이 바로 2년전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파문을 주도한 '새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대표를 지냈던 니시오 간지이다. 그는 '20세기 초반까지 한반도는 법의 공정성도 없고 부의 합리적 배분도 없는 지금의 김정일 체제와 같은 극빈 열악한 비인간적인 상태였다.' '한국인은 그대로 일본의 보호를 받으며 사는 것보다 합병을 해서 세계 1등 국민으로서 일본인과 동등한 대우를 받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100만 명이 넘는 일진회가 합방을 요청해 정치적 운동을 전개했고, 그것은 거대한 운동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강영운 외, 「한국역사18 대한제국」, 학원출판사, 1994.
강영운 외, 「한국역사22 국사용어사전」, 학원출판사, 1994.
하영선, 「한국과 일본」, 나남출판, 1997.
이덕주,「조선은 왜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는가」, 에디터, 2001.
김우현, 「세계정치질서」, 한울아카데미, 2001.
전희진, 『식민지시대 소작쟁의와 농업정책의 변화』, (서울: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0)
김민철, 『식민통치와 경찰』, (서울:역사문제연구소, 1994)
최창규, 『근대한국정치사상사』, (서울:일조각, 1972)
유선호, 『한국사총론』, (서울:형설출판사, 2001)
하영선, 『한국과 일본』, (나남출판, 199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식민통치연구1:1905∼1919』, (백산서당, 1999)
정용석, '식민지조선에 투자된 일본자본의 규모와 구성내용', (부산:동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Pow-key Sohn, Chol-choo Kim, and Yi-sup Hong, The History of Korea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970)
한국정치외교학회, 『한국외교사Ⅱ』, (집문당,1995)
한국정치학회 김유남, 『한국정치연구의 쟁점과 과제』(한울아카데미, 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