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

 1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1
 2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2
 3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3
 4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4
 5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5
 6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6
 7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7
 8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8
 9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9
 10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10
 11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11
 12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12
 13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악치료사의 직무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음악치료사(Musical Therapist) 직무소개

Ⅱ. 직무기술서

1. 직무명칭
2. 직무활동과 절차
3. 작업조건
4. 사회적 환경
5. 심리,정서적 환경
6. 고용조건

Ⅲ. 직무명세서

1. 지식 (Knowledge)
2. 기술 (Skill)
3. 능력 (Ability)
4. 기타 (Others)

Ⅳ . 부록 – 음악치료의 구체적 사례
본문내용

2) 사용되는 도구
(1) 악기
가. 피아노/기타: 내담자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치료에 반영하기 쉬움.
나. 패들드럼(paddledrum), 에그쉐이커(eggshaker), 캐스터네츠, 탬버린, 우드블럭,(woodblock), 북, 심벌즈, 징, 소고, 장고 등: 근육 발달 향상을 도움.
다. 마라카스(maracas), 윈드챠임(windchime),오션드럼(oceandrum), 봉고(bongo), 실로폰, 칼라핸드벨, 레인스틱(rainstick) 등: 정서 함양, 흥미 유발, 감정 표현에 유용함.
라. 기타: 박수나 간단한 몸동작이 치료 자체의 도구가 되기도 함.
(2) 보조 도구: CD플레이어, 음표가 아닌 번호와 스티커가 부착된 악보 등


3. 작업조건

1) 작업환경
(1) 전체적 작업환경
가. 열, 조명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적당함.
나. 음악치료 시 발생되는 소음 차단을 위해 방음 벽 설치 등 방음에 신경 씀.
다. 주로 아동을 치료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밝고 경쾌한 분위기의 인테리어.
라. 뇌성마비 혹은 신체적 장애가 있는 내담자일 경우, 공원 등의 외부 공간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음.
마. 치료를 받는 중 환자들의 행동 관찰을 위해 감시창이 설치되어 있음.
바. 개선점: 오디오 플레이어 등 재생장비의 구축 및 점검 필요. 세션에서 장비 오작동으로 맥이 끊기는 경우가 있음.

(2) 작업환경 분위기: 내담자들이 편안하게 느끼고 참여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가. 자유롭고 배려하는 분위기
나.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



4. 사회적 환경

1) 작업집단의 인원수
(1) 개인적 치료: 주로 치료사 1인이 일임
(2) 병원과 연계되거나 대상자가 많을 경우: 3-4명의 치료사가 함께 치료의 참가. 그룹치료 시, 참여자 3명당 최소 보조치료사 1명 정도가 안정적임.

2) 직무 수행 시 요구되는 상호작용
(1) 내담자의 보호자와의 상호작용
(2) 기관 관계자와의 상호작용: 외적인 조건의 마찰을 최소화 및 원활한 치료 진행을 위해 필요. 치료도구, 보조 장비의 확보 및 설치에 관여되며 감독의 형태나 작업관련 규정 및 지침에 관련하여 서로 타협함.
- 학교와 연계하여 특수아동 대상의 수업이나 방과 후 교실에서 치료진행을 하는 경우
- 병원과 연계하여 집단치료 등을 하는 경우
- 대학에서 관련 강의를 하는 경우
- 전문요양원이나 복지관에서 치료진행을 하는 경우
(3) 보조치료사와의 상호작용: 특히 집단치료를 진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치료사 1인이 피아노 반주, 치료 진행, 참여 유도를 전적으로 맡아서 하기가 어려움. 따라서 보조치료사로 하여금 내담자의 치료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게 하고, 짝을 이뤄서 해야 하는 활동의 경우 보조 치료사가 짝이 되어 치료에 참여하기도 함.

3) 직무의 사회적 특성
(1) 한국의 경우, 재정적․정신적 스트레스를 이유로 장기적인 치료를 선호하지 않음. 따라서 단기적으로 즉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 많음.
(2) 성인들은 음악 치료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자폐아, 과잉행동아, 정신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