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

 1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
 2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2
 3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3
 4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4
 5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5
 6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6
 7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7
 8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8
 9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9
 10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0
 11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1
 12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2
 13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3
 14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4
 15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5
 16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6
 17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7
 18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조시가론] 기행가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행가사의 개념



(1) 기행가사의 ‘기행’



(2) 기행가사의 ‘가사’



(3) 기행가사의 분류



2. 작품의 감상과 해설



(1) 관동별곡



(2) 일동장유가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동별곡』의 작자인 송강에게 있어서 관동지방의 여행은 정치인으로서 강원도에 관찰사로 원주에 임명된 후 3월에 부임해서 그 지역을 유람한 것이다.『관동별곡』의 성격에 대한 기존 논의들은 대체로 충군애민의 유가적 이념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면이 많은데, 이는 당대 지배이념에 충실했던 사대부 작가라는 점과 정치적 입지가 변화함에 따라 출처의 양상이 매우 다채로웠던 인물이라는 점을 지나치게 의식한 결과인 것 같다. 박영주,「조선조시가의 존재양식과 미의식」, 보고사, 1999.
송강은 어디까지나 사림출신이며 귀족사림으로 임금에게는 충성심의 소유자였기 때문이다.
송강은 당상까지 오른 정치인으로 당쟁에 스스로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서인이 실세가 되자 그 역시 조정에 나갔다가 낙향 혹은 유배당한 정치인이었다. 그러나 송강은 시가문학의 대가로서 낙향해서 유배했을 때의 슬플 때나 언제나 자연과 벗하여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는 일면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조선 시대의 기행가사는 관료들이 자기 임지의 승경을 노래한 것이다. 기행가사는 관료생활의 즐거움을 노래한 것으로, 가사에서 우선 그들은 그러한 자리를 마련해 준 성은에 감사하며 공적인 임무에 틈을 내어 자기한 임지한 곳곳을 둘러보고 임금에 대한 충성을 노래하고 아울러 자신의 감흥과 선정을 읊고 다짐했다.

江강湖호애 病병이 깁퍼 竹듁林님의 누엇더니,
關관東동 八팔百 里니에 方방面면을 맛디시니,
어와 聖셩恩은이야 가디록 罔망極극다.


지방관으로 나가 그곳의 풍경을 본 송강의 가사 역시 관료생활과 관계있는 것으로 그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두루 살피고 노래한 것이다. 풍부한 경물 묘사와 세련된 수사가 돋보인『관동별곡』은 총 293구이며 4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에서는 관찰사에 제수되어 여행에 오르는 동기가 밝혀져 있다. 임지로 떠나는 거동이 가볍고 걸음마다 흥이 나서 가는 곳마다 경치를 노래하면서 아주 득의한 심정으로 현란한 수식을 하였다. 송강은 국토를 놀이터로 삼고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을 풍류에 도취하는 기백으로 바꾸어 읊었다.
『관동별곡』의 서사부분으로, 강호에 병이 깊어서 죽림에 누워 있던 송강은 강원도 관찰사를 제수받자 망극한 성은을 외치며 곧바로 현실로 뛰어든다. 그의 여행 동기와 생활이념이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향리에 내려가 처사로서의 삶을 누리다가도 임금의 부름을 받고 관인의 길로 나서는 작품의 서두 부분에서 보듯, 송강은 사회현실에서 멀리 벗어나 있을 수 없는 유가 사대부로서의 이념을 누구보다도 충실히 고수하고 있다.
『관동별곡』을 통해 본 송강의 여행은 관찰사로서 발령받은 임지에서 그 곳의 경관을 관망하는 것이었다. 관동팔경의 명승지를 두루 돌아보며 감상한 것이었다. 뛰어난 경치와 함께 시가적 양식의 기사를 읊으면서 결국은 연군의 우국과 신선류의 풍류를 말하고자 한다. 연군을 걱정한다는 것은 당대의 정치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정치현실이란 세속적인 성격이 짙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송강은 여행을 한 것이었고 결국은 다시 정치에 열중하여 태평성대를 이루려는 이상을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함께 자신의 정치적 입지의 활력소의 역할을 한 것이다.

➁ 자연 경관의 묘사

『관동별곡』이 지어진 당시 16, 17세기 조선의 시가에서는 자연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불우한 정치 현실적 상황이 자연에의 은거를 촉발함으로써 자연미를 발견하는 계기를 부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청한하고 적막한 것을 즐기기 위해서이고, 다른 하나는 시국을 근심하고 임금을 그리워하는 답답한 정을 펴기 위함이었다. 가까이에 있는 구체적 경관을 생생하고 세부적으로 묘사함은 상황의 추이를 간결하고도 함축적으로 그려내고자 하는
참고문헌
□ 참고문헌

1. 단행본

구지현,『계미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보고사, 2006.
박영주,『조선조시가의 존재양식과 미의식』, 보고사, 1999.
최강현,『기행가사(紀行歌辭)의 연구사고(硏究史考)』, 홍익대학교논총 10, 1978.

2. 논문

강경하,「한·일 기행문학의 비교 연구 :「관동별곡」과 「오쿠노 호소미치」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송미숙,「사행가사 연구 : 와 를 중심으로」,
조선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이계용,「일동장유가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성결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이근호,「가사문학의 대가이자 서인의 영수 정철」, 네이버 캐스트, 2010.
이태문,「조선조 기행가사의 갈래론적 접근」,『동양고전연구』제3집, 1994.
정기철,「기행가사연구」,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최강현,「한국기행문학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1.
최병영,「18세기 기행가사 연구」,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최서임,「정철의 관동별곡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최 철,「기행문학의 한 고찰」, 인문과학, 제42집, 1979.
한창훈,「관동별곡 해석의 문학 교육적 의미망」, 한국문학교육학회 ,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