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가(燕行歌)

 1  연행가(燕行歌)-1
 2  연행가(燕行歌)-2
 3  연행가(燕行歌)-3
 4  연행가(燕行歌)-4
 5  연행가(燕行歌)-5
 6  연행가(燕行歌)-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연행가(燕行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행가(燕行歌)
1. 작품분석 및 창작동기
출발, 노정, 목적지, 귀로의 4단계 구분에 따른 『연행가』의 세부적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보고 듣고 경험한 내용
출발
使行差程(사행차정)의 동기와 구성원
창덕궁 인정전의 출발과 송별
노정
압록강 渡江(도강)
저음하는 寒屯(한둔: 찬 곳에서 밤을 지샘)
柵門(책문)에 듬
목적지
錄窓朱戶(녹창주호: 호화롭게 꾸민 좋은 집)의 여염집과 처음 본 胡人(호인)
의복제도
발맵시
집제도
음식
짐승치기 숭상하는 호인 풍속
육아법
농경과 방적
關帝廟(관제묘)숭상 풍속
槍矢(창시: 창과 화살) 놀음구경
집제도
通州(통주)의 호화선박과 夜市(야시: 밤 시장)
燕京(연경)과 復命(복명) 스케치
海海館(해해관)의 三使臣房(삼사신방)
몽고스님
十三經碑(십삼경비)와 거리 스케치
琉璃廠(유리창) 스케치
香풀이
冊풀이
비단풀이
부채풀이
茶풀이
기명(살림살이에 쓰는 그릇따위) 풀이
모피나 의류 풀이
과실풀이
곡식풀이
생선풀이
술풀이
떡풀이
철물풀이
옹기풀이
전당(물품을 담보로 하여 돈을 꾸어 주거나 꾸어 쓰는 일)풀이
처음 본 약대(낙타)
장례풍속과 상여
棺(관)
墓碑(묘비)
혼인풍속
처음 본 화초
처음 본 자명고(적이 침입하면 스스로 울렸다는 전설상의 북)
도사와 스님
幻戱(환희: 요술)의 구경
곰놀리는 구경
천자와 黃玉車(황옥차)
정소경, 황낭중, 동학사와 筆談
주안상
처음만난 洋鬼子(서양인)
귀로
回還(회환)과 鄕愁(향수)
上馬賊(상마적: 말 탄 도적)의 징계법
老親 생신일의 슬픔
往返復命과 노친재회
는 조선 고종(1866년) 때 홍순학이 지은 사행가사이다. 작자가 25세에 고종이 왕비를 맞이한 사실을 중국에 알리기 위해 중국에 사신의 행차를 보냈다. 이때 작가가 서장관(書狀官)으로 따라가서 청나라 연경(燕京:지금의 北京)을 왕복했던 1866년(고종3) 4월 9일에서 8월 28일까지의 기행(紀行) 견문을 읊은 작품이다. 총 3,924구의 장편 기행(사행)가사이며 4·4조의 가사체로 쓴 이 작품은 한중문화교류문서로서도 큰 의미가 있으며,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와 아울러 기행가사의 백미로 꼽힌다.
홍순학의 『연행가』는 연행가사로는 맨 처음 학계에 소개되어 이 유형의 가사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이 작품은 『연행가』, 『북원가』, 『북원록』, 『연행록』 등의 제목으로 된 10여 중의 필사본들이 전하고 있는데 조선왕조 연경 사행자들이 쓴 사행가사를 통틀어 ‘연행가’라고 부르기도 하므로 혼란을 피하기 위해 『병인연행가』라고도 한다. 임기중, 연행가사연구, 아세아문화사, 2003
2. 주제 : 청나라 연경을 다녀오면서 접한 호인들의 생활과 문화
3.기존 연구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