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시] Hilda Doolitle(H.D.)

 1  [미국시] Hilda Doolitle(H.D.)-1
 2  [미국시] Hilda Doolitle(H.D.)-2
 3  [미국시] Hilda Doolitle(H.D.)-3
 4  [미국시] Hilda Doolitle(H.D.)-4
 5  [미국시] Hilda Doolitle(H.D.)-5
 6  [미국시] Hilda Doolitle(H.D.)-6
 7  [미국시] Hilda Doolitle(H.D.)-7
 8  [미국시] Hilda Doolitle(H.D.)-8
 9  [미국시] Hilda Doolitle(H.D.)-9
 10  [미국시] Hilda Doolitle(H.D.)-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국시] Hilda Doolitle(H.D.)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H.D. 소개
H.D.와 이미지즘
H.D.와 페미니즘
H.D.와 헬레니즘

“Helen”
“Helen” vs. “To Helen” 비교
“Oread”
“Sea Rose”

본문내용
사물을 직접적으로 다룰 것, 이미지 표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말을 절대로 쓰지 말 것, 연속되는 음악적 문구로 리듬을 창조할 것 등은 무엇보다 정확한 Imagery와 자유로운 리듬을 강조한 것으로서, 그들로 하여금 종래의 애매하고 안이한 시와 구분 짓게 하는 현대시의 가장 뚜렷한 징표가 되어준다. 비록 그들의 시 세계가 각각 그 내용을 달리하고 모두가 현대시로서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그들은 다양성 속에서 어떤 통일성을 지향하는 공동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만은 틀림이 없다. 그들의 관심은 주로 종래의 개념화 내지 감정화의 낭만주의적 예술관을 거부하고 고전주의적 예술관을 모색하는 일이다. 말하자면 그들은 낭만주의의 막연한 정신편향, Sentimentalism 에 반대하고, 벽돌을 쌓아 올리는 듯한 정밀함과 억제력을 요구하는 고전적 태도를 한결같이 지향한다. 그만큼 시의 특색을 선명하고도 적절한 이미지와 질서에서 구하였다.


R.P. Blackmur 는 그녀의 특별한 사상주의(imagism), 다시 말하여, 차갑고, 그리스적인 것, 사상주의가 시적 언어의 평상적인 원천의 하나가 되었다고 했다. 그것이 단어를 적어두는 규칙적인 수단이라고 보고 그 결과 그것들은 유지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독자들이 그 친밀성을 단조로움과 혼동하거나 형태를 손쉽게 모방하는 것이 그 양식과 병행하는 인식과 우열을 다툰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이라고 말하였다.
Harold Monroe는 H.D.의 시를 보고 “하찮은 시, 상상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불필요하게 과도한 제한을 한다”라고 했다. 1915년 6월 1일호 지에서 메이 신클레어는 해롤드 먼로우가 이 시를 ‘하찮은 시’라고 평한 데 대하여 반박하는 평을 썼다. 그는 ‘빅토리아 시대의 시인들은 프로테스탄트라고 말했다. 그들에게는 빵과 포도주는 실재, 즉 살과 피의 상징이고 그것들은 추억으로 주어진다고 여겨졌다. Imagism의 시인들은 가톨릭교적이므로 그들은 빵과 포도주를 예수의 피와 살로 변질케 하는 것을 믿는다고 했다. 그들에게는 빵과 포도주는 살과 피이며. 그것들은 주어져 있다고 말했다.



H.D.는 남성 중심적 시인 사회 속에서의 여성 시인이었다. H. D.는 그런 사회 속에서 자신의 자아를 추구해 나갔으며 그녀의 자아 추구는 세상의 이분법적인 갈등 구조를 융합하는 영원성의 성취였다. H. D.는 과거에 지녔던 제반 인식을 다시 배워서 사회의 여러 현상과 상호 작용을 하며 그녀의 자아가 성숙되는 것이라 보았다. 타인에 의해 규정 되어지는 수동적인 언술의 틀에서 벗어 나기 위한 투쟁의 성격을 띤 그녀의 자아 추구는 기존의 힘에 대한 정의에 대해 다시 수정을 가하는 여성의 심리학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각은 작품 속에 나타난 모녀관계에서도 잘 나타나있다. 그녀에게 있어서 힘이란 위계질서의 확립과 같은 배타성을 띤 것이 아니고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용기와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시인의 성적인 굴레에 대한 인식과 그 곳에서의 탈출을 모색하는 그녀의 예술성은 그녀가 처한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틀 속에서 나름대로 펼쳐졌고, 자아 추구가 계속적이며 확정되지 않은 무한한 가능성의 연장선임을 인식했다. 자신의 자아 추구를 위한 과정에서 그녀는 여성의 목소리를 내려고 하였고 시에서도 남성과 여성 등 양극화된 범주를 벗어나 평등하고 유연한 관점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또한 그녀는 몇 안 되는 프로이드에게 정신 분석을 받은 사람 중의 한 명 이었는데 그녀의 성적 정체성 때문에 이것을 받았다. 그녀는 어머니에 대한 성적 집착을 가지고 있었는데 보통 여성이 남성인 아버지에 대한 성적 집착을 갖고 있다는 이론과 상반되었다. 그녀의 성장 과정에서 성적 정체성이 확립 될 때 집착하는 대상이 아버지로 바뀌어야 했었는데 그것이 이루어지지 못해 대상이 어머니로 남아 있었다는 의견도 있다. 그녀의 아버지가 매우 지배욕이 강하였고 H.D.를 수학자로 만들려 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참고문헌

 김재근, 『이미지즘 詩人選』, 정음사, 1979.
 최재헌, 『영미시 오디세이』, L.I.E., 2009.
 최희섭, 『미국 현대 대표 시인선』, 한빛문화, 2010.
 한은원, 「H.D.의 『이집트의 헬렌』에 나타난 신화 다시 쓰기」, 『영미문학 페미니즘』 제9권 1호(2001).
 현영민, 『미국시의 향연』, 충남대학교 출판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