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

 1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1
 2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2
 3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3
 4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4
 5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5
 6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6
 7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7
 8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8
 9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론] 현진건 중기 단편 소설 중「운수좋은날」,「고향」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운수 좋은 날
1-1 도시 하층민의 비극적 삶
1-2 욕망의 이중적 구조
1-3 반전과 반어적 기법

(2) 고향
2-1 농촌 황폐화와 방랑
2-2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빙허 현진건은 1920년 11월 첫 작품 「희생화」를 발표하면서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하였고, 1941년 마지막 장편 「선화공주」를 연재하다가 중단하기까지 약 20년간 창작 활동을 한 작가이다. 그는 전형적 근대소설 작법에 의한 초창기 소설의 한 전범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순수한 문학인으로 사회, 역사적 상황을 문학의 세계에 담아내고 당대의 사회문제를 냉철하게 비판하며 소설로 표현하였다. 그는 사실주의 문학을 정착시켜 한국 문학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고 역사적인 상황에서 문학이 해야 할 몫을 명쾌히 제시해 준 작가라는 점에서, 우리는 그의 문학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의 소설 세계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윤병로, 「빙허 현진건론」,『현대문학』,1956,3.
본고에서는 현실을 직시하며 강한 민족의식과 비참한 사회 현실을 본격적으로 소설화 하였던 중기 작품들 중 「운수좋은날」,「고향」을 분석해 보고 나아가 작품 속에 담겨진 작가의식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운수 좋은 날
이 작품은 「빈처」,「B사감과 러브레터」와 함께 묶어 가장 널리 알려진 현진건의 3대 단편소설이라고 손꼽아도 될 만한 작품으로, 『開闢』48호(1924, 6)에 발표되었다. 시대정신과 사회구조에 대한 통찰이란 점에서 식민지의 궁핍상을 여실히 보여준 리얼리즘 소설로 평가받았고 김우종, 김영민, 박성국, 박해준, 신동욱, 최원식, 현길언 등은 이런 관점으로 「운수 좋은 날」을 분석하였다.
, 아내에게 퍼붓는 욕설에 숨겨진 ‘언술의 아이러니’ 와 상식세계의 논리를 붕괴하는 ‘상황의 아이러니’ 이재선, , 「한국단편소설연구」,일조각, 1975.
를 보여주고 있다.
1-1 도시 하층민의 비극적 삶
「운수 좋은 날」은 인력거꾼 ‘김첨지’라는 주인공을 통하여 하층민인 도시노동자의 궁핍상을 보여주고 있다. ‘김첨지’에게는 죽음을 앞둔 병든 아내가 있는데, 그 병은 가난으로 얻은 병이고 가난 때문에 치유될 가망이 없는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다.

그의 아내가 기침으로 쿨룩거리기는 벌써 달포가 넘었다. 조밥도 굶기를 먹다시피 하는 형편이니 물론 약 한 첩 써본 일이 없다 … (중략) … 따라서 의사에게 보인 적이 없으니 무슨 병인지도 알 수 없으되 … 현진건, 「운수좋은날」,『한국단편99선①』,1994, pp.201~202.


'김첨지'가 처해 있는 빈궁의 상황은 ‘조밥도 굶기를 밥 먹다 시피 하는’,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먹거리 확보도 불가능한 문자 그대로 절대적 빈곤선 ‘절대적 빈곤’이런 최저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득이 결여된 상태로 정의된다. 생존을 위하여 최소한으로 필요 한 소득을 빈곤선(poverty)이라 규정하고 그 선에 못 미치는 소득을 가진 사람들을 빈곤층이라고 본다.
이하의 삶이다. 여기서 보여 지는 ‘김첨지’의 빈곤은 ‘김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시의 전형적인 인물의 모습으로까지 확대 해석 할 수 있다. 1920년대는 급속도로 한반도가 근대화되어가던 시기이다. 그 근대화의 성격에는 일제를 위한 산미증산기지, 일제의 공산품 소비지 역할이란 식민지적 특수성이 내재되어 있다. ‘효율적인’ 산미증산과 수탈을 위해 일제는 자작농의 비율을 강제적으로 줄여 그들을 소작농화하고, 이러한 수탈과 핍박에 시달리던 소작농들은 재차 유리걸식하는 유민(流民)이 되거나, 도시빈민으로 편입하려는 변동을 겪게 된다. 그리고, 일제 공산품의 조립공장이나 하청업체 수준으로 시작된 당시 공업계는 많은 노동자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소작농이나 유민들의 상당수가 공장의 저임 근로자로 흡수되기도 한다.
이 작품의 ‘김첨지’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도시빈민의 표상이다. 이들 도시빈민은 정치적으로 피압박민이라는 민족의 공동채적 운명에 묶이고, 경제
참고문헌
1. 자료
현진건, 「운수좋은날」,『한국단편99선①』,1994,

2. 저서, 논문
강만길, 『일제시대 빈민생활사연구』, 창작사, 1987.
김성수, , 『泮橋語文硏究 제3집』, 1992.
나병철, 『근대 서사와 탈식민주의』, 문예출판사, 2001,
송민호, 『한국 개화기 소설의 사적연구』,일지사, 1975,
이재선, , 「한국단편소설연구」,일조각, 1975.
「교차전개의 반어적 구조」-의 구조, 『현진건 소설과 그 시대인식』,새문사, 1981.
이명숙, 「현진건 단편소설의 갈등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이용남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1.
윤병로, 「빙허 현진건론」,『현대문학』,1956,3.
한상무, 「현진건의 」,이재선 편, 『한국현대소설작품론』(문장,1981),
한상무, 『사랑의 작가 현진건 문학 연구』, 북스힐, 2003,
현진건, , 「개벽」65호, 1926.
홍이섭,『한국현대사』,신구문화사,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