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

 1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1
 2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2
 3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3
 4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4
 5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5
 6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6
 7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7
 8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대중문화론] 일본대중음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일본대중음악의 동향과 실태
2. 일본대중음악의 역사
3. 일본대중음악의 특성

III. 결론

용어사전
엔카(演歌)
오리콘차트
KinKi Kids
본문내용
I. 서론
우리나라는 36년동안의 식민지배를 경험하면서 ‘반일감정’이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국민의 의식속에 자리 잡게 되면서 뼈아픈 역사적 사실에 반박하고 또한 그것을 잊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반일감정’은 일본문화를 거부하는 형태로 표현되어 일본문화는 절대로 수입금지라고 하는 딱지가 늘 붙어다니게 되었지만 세계화의 흐름속에서 2004년 1월 일본 대중문화의 완전 개방 조치가 시행되었다. 상당히 큰 파급영향을 국내에 미칠 것으로 일부에서 전망됐으나 일본대중문화는 우려와 달리 별다른 충격 없이 안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일본대중문화는 우리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미 유입되어 매니아층을 형성되어 있었다. 전면개방 전 일본음반의 수입과 판매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공식적으로 일본음악에 대한 매니아들을 중심으로 국내의 일본 음악 블랙시장을 통해 청취 유포가 대량으로 이루어 졌고, 인터넷의 확산으로 그 유포의 속도는 더욱더 빨라지고 광범위해졌다. 인터넷의 무수히 많은 일본가수 커뮤니티에는 몇만명의 회원이 가입되어있다.
이번 전면개방을 통해 대중음악계에서는 그동안 정식으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던 일본어 가창음반이 대형 음반매장의 진열대를 당당히 장식하게 됐다. m·net KMTV 채널V MTV 등 각종 음악전문 케이블 방송들은 J-Pop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앞다퉈 신설하는 등 많은 변화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또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요즘 대중 매체에서 일본음악에 대한 기사거리를 심심치않게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언제나 몇 안 되는 아티스트들에 대한 기사와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 없이 작성된 기사들이 온통 지면을 장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기사들은 일본음악을 찾아 듣는 소수 마니아들에게 있어서는 유치함을 넘어 황당하기까지 진부한 기사거리로 취급되기 일쑤이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일본음악을 거의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그러한 몇몇의 아티스트들이 마치 모든 일본음악을 대표하고 있는 것인 양 왜곡되어 비추어 진다는 것이다. 일본음악을 '일본의' 음악이라는 편견이 아니라 가장 객관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본음악만이 갖고 있는 특징과 그러한 일본음악이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부터 지금까지의 흐름등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신성원. 『일본음악이 보인다』, (서울: 아름출판사, 1998) p27.
- 박전열외, 『일본의 문화와 예술』한누리 미디어 2000, p396~397
- 박형천, 『청소년의 일본대중음악 수용실태에 관한 연구』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 김도연, 『일본 대중 음악의 개방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대구카톨릭대 교육대학원 삭사논문, 2001
- 네이버 검색, 지식IN, 블로그
- 일본음악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진실 http://www.changgo.com/japan_1_0.htm

- 키키매거진 1998.9 http://kiki.patzzi.com/199809/k9809s0308p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