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

 1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
 2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2
 3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3
 4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4
 5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5
 6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6
 7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7
 8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8
 9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9
 10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0
 11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1
 12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2
 13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3
 14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영리조직의 공공 캠페인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이소리 캠페인`사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1. 미디어 리터러시의 확장: 캠페인 리터러시

2. 비영리 조직의 공공 캠페인의 의의와 현황

3. 공론의 장의 의의와 요건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2차 자료 조사

3. 심층 인터뷰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2차 자료 조사 결과

2. 심층 인터뷰 결과

1) 출입과 발언의 자유와 평등

2) 의제의 중요성과 시의성 및 공동체 관련성

3) 객관적인 정보 제공 & 4) 논리와 증거를 통한 토론 전개

Ⅴ. 결론

본문내용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진은 먼저 캠페인의 대략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 등 2차 자료 조사를 계획했다. 이어 2차 자료만으로는 알 수 없는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이소리 캠페인을 기획·진행 중인 사단법인 아동복지운동본부의 김영근 대표와 캠페인 협력 집단인 서울경인지역 대학생 연합동아리 'SERIPTURE' 회원들을 만나서 인터뷰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렇게 알아낸 내용은 앞서 논의한 선행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차후에 분석해볼 것이다.

2. 2차 자료 조사

2차 자료(secondary data)는 설문조사, 참여관찰, 인터뷰 등의 직접 조사로 수집하는 1차 자료(primary data)와 달리, 주로 문헌자료나 인터넷 정보검색을 통해 타인이 기존에 수집해놓은 것을 조사해 얻는 자료이다. 1차 자료에 비해 조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때로는 기존의 자료 수집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1차 자료보다 더 전문적이고 객관적인 경우도 있다. 다만 2차 자료는 연구자와 다른 목적을 가진 선행 연구 결과에서 빌려오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자가 원하는 형태의 자료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오래 되거나 정확하지 않은 자료일 가능성이 있는데 특히 인터넷에서 얻은 자료일 경우 신뢰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자료의 종류와 수집 방법, 2011).
본 연구진은 이소리 캠페인 관련자들을 인터뷰하여 심도 있는 1차 자료를 조사하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소리 캠페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고자 2차 자료 조사를 먼저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캠페인 주최 측인 아동복지운동본부의 홈페이지(그림 1)와 언론 보도 자료를 비롯한 인터넷 정보 검색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진은 이 과정을 통해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성혜·송현진·이나연·이정한 (2010). 주류 미디어 공론장의 이상과 현실: 국내 주요 신문의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보도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6(1):
144-189.
김영욱 (2006). 비영리 PR과 PR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확장: 공론의 장 논의와 수사학
패러다임의 적용. 한국광고홍보학보, 7(5): 7-40.
김영욱 (2010). 비영리 커뮤니케이션: 사회적 약자와 공공이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이화여대출판부: 서울.
박상필 (2011). NGO학: 자율·참여·연대의 동학. 아르케: 서울.
손석춘 (2006). 어느 저널리스트의 죽음: 한국 공론장의 위기와 전망. 후마니타스: 서울.
Potter, W. J. (2010). The state of media literacy.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4(4): 675-696.
Rosenbaum, J. E., Beentjes, J. W. J. & Konig, R. P. (2008). Mapping media literacy: Key concepts and future directions. Communication Yearbook. 32: 312-353.
Thoman, E. & Jolls, T. (2004). Media literacy: A national priority for a changing world.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8(1), 18-29.
자료의 종류와 수집 방법 (2011-12-15). http://blog.naver.com/frankhwang/60149923907. 201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