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

 1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
 2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2
 3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3
 4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4
 5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5
 6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6
 7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7
 8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8
 9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9
 10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0
 11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1
 12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2
 13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3
 14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4
 15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5
 16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6
 17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7
 18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8
 19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19
 20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시사] 임화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인소개

1) 임화는 누구인가

2) 임화의 성장과 죽음

2. 에 대하여

1) 정의

2) 배경 및 전개

3) 의의

3. 작품세계

1) 작품 활동

2) 작품세계의 특징

⑴ 제 1단계

⑵ 제 2단계

⑶ 제 3단계

4. 작품분석

1) 네거리의 순이

2) 우리오빠와 화로

3) 현해탄(玄海灘)

본문내용

⑵ 제 2단계
임화의 제2단계 문학은 1936년경으로 그 시발점을 잡는다. 36년 한 해 동안에 그는 10편 가까운 시와 20편을 상회하는 비평을 썼다. 그리고 이후 이런 활동상은 일제의 조선어 사용금지령이 내린 40년대 초반에까지 이른다. 뿐만 아니라 이 단계에서 임화는 질적으로도 앞선 시기의 것을 능가하는 활동상을 보였다. 이 무렵에 그는 등을 썼고, 그와 동시에 비평 쪽으로는 휴머니즘, 낭만주의론, 세태소설 등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시도했다. 나아가 우리 근대문학을 다룬 것으로는 최초에 해당되는 본격문학사로 를 엮고자 한 시도도 이때에 이루어졌다.
제 2단계에서 펼친 임화의 활동상 가운데 비평분야는 아주 두드러지게 활발하다. 37년도에도 그는 10여 편을 상회하는 평론들을 발표했고 이어 38년에는 30편 넘는 글을 쓰는 등 30년대 후반기에 100편을 육박하는 평론을 쓴 셈이다.
카프 해산 후 임화는 시 분야에서도 의욕적인 활동을 펼친다. 가장 많은 양의 작품을 발표한 것은 1937년도이다. 이 해에 그는 10여 편을 웃도는 작품을 발표했고 이 가운데 제 2단계 임화시의 특징이 드러나는 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 무렵에 발표된 임화의 시는 그 말이 집약적이라기보다는 서술적인 데가 더 많이 나타난다. 또한 대부분 작품이 5,60행을 넘는 긴 시다. 이들 두 측면은 그 앞 단계에서 임화가 보여준 작품과 다를 바 없으나 구체적으로 작품을 검토해 보면 상당한 변화를 알 수 있다.
에는 계의 시들처럼 별도로 등장인물이 나타나지 않는다. 유일한 등장인물은 이며 그는 작품의 화자와 그 모습이 겹쳐지는 것이다. 이것은 이 작품이 긴 시이기는 하지만 서사시보다 서정시에 더 가까운 양식임을 뜻한다. 이 작품의 줄거리 역시 제 1단계 임화시의 경우와는 다르다. 계의 작품에서는 반드시 노동쟁의의 이야기가 나오고 계급투쟁의 지난날을 말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러나 여기서 되새겨지고 있는 것은 고국의 일들뿐이다. 노동운동, 계급투쟁은 나타나지 않는다.
임화는 제 1단계 시에서 끊임없이 문학작품의 무기화를 주장했다. 그리고 그런 목표를 기능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당파성, 전위성과 함께 전형을 등장시키고 그를 통해 대중을 선동, 고무시킬 것을 주장했다. 그럼에도 제2단계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이 작품에는 그런 단면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가 카프 해산 후 다소간 방향을 바꾸었다고 볼 수 있다. 임화가 그의 실제작품에서 계급적 갈등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당파성, 전위성을 희석시킨 점은 비평을 통해서 그가 취한 이데올로기 일체주의와 모순된다. 그 이유는 정세악화에 따른 보호색 내지 연막전술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카프 해산 후에도 일제는 계급문학운동의 전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