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

 1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1
 2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2
 3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3
 4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4
 5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5
 6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6
 7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7
 8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평가] 메타평가(Meta Evaluation)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메타평가의 중요성 인식
2. 메타평가의 의의
3. 메타평가의 특징
4. 메타평가의 목적
5. 메타평가의 유형
6. 메타평가의 구성요소
7. 메타평가의 평가기준
8. 평가의 일반적 절차와 메타평가
9. 메타평가의 제한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1. 메타평가의 중요성 인식
평가에 대한 생각의 오류와 잘못된 태도는 진정한 의미의 평가를 저해하고 있다. 즉, 평가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활용하는 과정이라고 아무리 말해도 평가라고 하면 가치판단만 연상하여 다른 사람이 한 일을 평가하기는 좋아해도 자신이 평가받는 것은 싫다는 생각과, 평가를 실시한 다음 평가과정과 결과에 대해서는 별로 이의나 의문을 품지 않고 거의 자동적으로 승복․수용하는 태도와 같은 것들을 말할 수 있다.
또한, 평가를 할 때 평가과정에 뜻밖의 오류를 범하여 평가결과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평가목적을 잘못 설정하거나, 적절치 못한 평가도구를 선택하여 평가를 해서 도저히 믿을 수 없는 결과를 그럴듯하게 정리한 평가결과를 의사결정에 사용한다면 그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교육의 효율성과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평가가 이루어 졌다 하더라도 오히려 형식적인 평가를 위한 평가로 그치고 마는 경향도 있어 결과를 활용하는 의사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평가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평가 활동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며, 이런 측면에서 평가 활동의 적정성 여부를 다시 평가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차단하기 위해 Scriven(1969)은 ‘평가 자체가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메타평가란 개념을 제안했다.
참고문헌
변창진, 최진승, 문수백, 김진규, 권대훈.(2001). 교육평가. 서울 : 학지사.
황정규(2000). 한국교육평가의 쟁점과 대안. 서울 : 교육과학사.
강종훈(2000). 직업교육훈련평가의 추수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