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

 1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1
 2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2
 3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3
 4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4
 5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5
 6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의 후계체제 문제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북한의 후계체제와 그 문제점
-김일성 체제
-김정일 체제와 계승과정
-김정은 체제와 계승과정
-북한의 후계체제의 전망과 문제점

본문내용
1.북한의 후계체제와 그 문제점
북한은 수령체제라는 독특한 정치제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을 이 세 부자가 수령의 자리를 세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단순한 수령체제가 아닌 마치 왕권 체제로 나아가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얼마 전 김정일의 사망 후 김정은이 그 자리를 물려받았다. 이는 북한만의 정치변동이라고 할 수 없다. 북한의 정치변동은 단순히 북한 내의 정치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대북통일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지구상 유일하게 남은 분단국가로서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와 북한의 문제가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의 보안 문제와도 연결된다.
북한에서의 지도자란 단순히 행정부의 수반이 아닌 정신적 지도자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누가 지도자가 되느냐에 따라 앞으로 북한이 나가갈 방향이 확연하게 달라진다. 임기가 없이 모든 권력을 쥐는 북한의 지도자의 북한에서의 영향력은 충분히 설명할 수 없을 정도 일 것이다. 때문에 우리는 김일성 김정일에 이어 3대째 세습한 김정은에게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정치에서 북한변수를 무시할 수는 없으며 북한의 지도자가 새롭게 바뀐 이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북한의 후계체제와 계승과정 등을 고찰하여 남북관계를 전망해 보려고 한다. 또한 북한의 후계체제가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해 앞으로 북한이 나아가야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근식, 1999, “북한의 권력승계 과정과 당내갈등”, 『통일문제연구』제11권
유영옥, 1994, “북한 후계구도의 변화가능성에 관한 대안적 고찰”,『군사논 단』, 한국군사학회
유영옥, 1998, “북한 권력체제의 특성연구”,『한국행정학지』, 한국행정사 학회
정성장, 2005, “김정일 시대 북한의 후계문제”,『한국정치학회보』제39집 2호
최영관, 1995, “북한 권력승계 공식화와 남북관계 전망”, 『현대사회과학』
고유환. 2008. “김정일 건강변수와 후계구축의 시나리오.” 『KDI 북한경제리뷰』
김덕홍. 2008. “[심층분석] '김정일은 1년동안 뭘했다' ④.” 『코나스넷』
김연광. 2003. “황장엽 전 노동당 사상․국제 담당 비서 확인 인터뷰.” 『월간조선』
성혜랑. 2000. 『등나무집』. 서울: 지식나라.
손광주. 2003. 『김정일 리포트』. 서울: 바다출판사.
연합뉴스. 2002. 『2003 북한연감: 북한인명․자료편』.
오오노 가즈모토. 2006. “北김정일의 차남 ‘김정철의 스위스 유학 시절’ 국내언론 최초공개.” 『레이디경향』(6월호).
우종창. 2001. “북풍사건의 주인공 윤홍준 주장: 《나는 일본에서 김정남을 만났다》.” 『월간조선』 (6월).
유호열. 2005. “김정일 지도자와 북한 체제: 우상과 실제.”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편), 『북한 연구의 성찰』. 서울: 한울아카데미.
이한영. 2004. 『김정일 로열패밀리』. 서울: 시대정신.
정성장. 2007. “북한정치 연구와 남한중심주의.” 『정치․정보 연구』제10권 1호.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2002. 『[초급선동일군들을 위한 강습제강] 선군시대의 요구에 맞게 선동사업을 더욱 힘있게 벌릴데 대하여』. 평양.
주성일. 2004. 『DMZ의 봄: 비무장지대 인민군 병사의 수기』. 서울: 시대정신.

북한의 군사정책 및 군사전략과 우리의 대응방안 (The military policy and military tactic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foreseeable reactive policies of the Republic of Korea) 조운형. 문서유형 학위논문(석사)2009
일반논문 : 2012년 대남정책 방향과 남북관계 전망 (The Political Policy against South Korea, and the Pro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2012) 이수석. 학술논문 학술지 글로벌정치연구 4권 1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