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

 1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1
 2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2
 3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3
 4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4
 5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5
 6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6
 7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7
 8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8
 9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9
 10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10
 11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11
 12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12
 13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사회복지] 노원구 저소득층 장애인 취업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의 중요성
2. 지역사회문제 분석
3. 욕구분석
4. 자료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5. 이론
6. 대상 집단에 대한 분석
7. 클라이언트 집단 모집을 위한 유인방법
8. 기존 프로그램 조사/분석 및 제안
9. 장애인들에게 취업관련 서비스 연계
10. 클라이언트(장애인) 개인 상담을 통한 자존감 향상
11. 제안사항에 대한 제한사항

본문내용

1. 문제의 중요성
1.1. 지역사회 맥락에서 이 문제의 중요성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가구 및 개인 소득이 낮다는 것은 무수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입증되어져 왔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소득의 격차가 OECD회원국가에서 최 하위권에 있을 만큼 장애인 소득수준은 상대적으로 더욱 열악한 실정이다. 장애인은 빈곤하고 이들의 빈곤에 대응하기 위한 소득보장체계가 미흡한 상황에서,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 대책의 강화는 장애인이 국가 및 사회에 바라는 가장 큰 욕구라는 것이 실태조사 결과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옆에 표를 보면 총인구 대비 장애인구 수, 비율 모두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노원구는 다른 구에 비해 장애인의 수가 많고, 그 비율도 높기 때문에 장애인 생계 관련 복지시설이나 제도 확대가 더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노원구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40.7%가 정부지원금에 의존하고 있지만, 월 평균 가구 소득은 50만 원 이하가 46%로 가장 높았고, 50~100만원 미만이 22.6%, 150만원 미만이 11.3%로 나타났다. 장애인 대부분이 월 소득액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자로 생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1. 노원구청 홈페이지 http://www.nowon.kr/new/economy/economy.jsp?mid=550104
1.2. 노원구 장애인 홈페이지 http://nowon.kr/dear/dear.jsp?mid=651331
1.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https://www.kead.or.kr/index.jsp
1.4. 보건복지부 http://www.mw.go.kr/
1.5. 노원구(2006), 노원구지역사회복지4개년계획, 삼육대학교 산학협력단, 12쪽
1.6. 조정아(2010),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 실태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대회자료집, Vol.2010, No.2, Startpage 255, Endpage 275, Totalpage 21
1.7. 전보영∙권순만∙조병희∙이태진(2010),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연구회
1.8. 이지수(2007),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한국사회복지학』제 59권 제 2호, pp.89-114.
1.9. 박수경(1999),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제 37권, pp.171-193.
1.10. 문정선(2010), 장애인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서울시, 경기도를 중심으로, 원광대 대학원, 학위논문, 1-129쪽
1.11. 전이상(2002),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2. 채호근(2010),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학위논문
1.13. 조주현, 최윤영(2010), 고용주의 장애인고용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Vol.20, No.1, 65-91쪽
1.14. 서옥연·장덕현(2008), 발달장애아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제19권, 제2호, 107-128쪽
1.15. Gordon, R. M., Seltzer, M. M., and Krauss, M. W. 1977. 'Chapter 2: Aftermath of parental death: Changes in the context and quality of life.' R. L. Schalock(Ed.), Quality of life: Its Application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pp.25-42).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16. 김미혜, 장숙(2011),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비장애 손위 여자형제들의 부양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Vol.32 No.6, 37-67쪽
1.17. 이정우(1997), 소득분배론, 서울 비봉출판사
1.18. 심윤종, 유홍준, 박승희(1998), 산업사회학, 서울: 경문사
1.19. 김용득 외 7명(2007),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인간과 복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