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

 1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1
 2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2
 3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3
 4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4
 5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교육목표 분류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

본문내용
교육목표를 상세화하기 위한 타일러의 작업에도 블룸에게는 여전히 허점이 많았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내용에 관해 ‘원리의 적용력’이라는 목표를 설정해서 가르치고 난 뒤에, 그 교육목표의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문제를 낸다고 해보자 이때 두 명의 교사가 서로 다른 종류의 시험문제를 사용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이다. 원리의 적용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 교사는 수업시간에 사용했던 것과 비슷한 문제를 출제하고 나머지 다른 한 교사는 수업시간에 접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를 출제하였다면, 학생들의 점수는 크게 차이가 날 것이고 그 점수를 기초로 교육목표의 달성도를 결정한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원리의 적용력이라는 교육목표의 의미가 두 교사 사이에 합의될 만큼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블룸과 그의 동료학자들은 교육목표를 아주 세분화할 필요를 느끼고, 생물학에서 동식물을 분류할 때 사용하는 방식(-종,속,과,목,강,문,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지적영역에 대한 교육목표를 여섯 항목으로 자세히 분류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과정이나 평가문제를 다루는 모든 교사, 행정가, 연구가들이 특히 교육문제를 논의할 때 보다 분명한 개념을 가지고 논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해라는 개념 하나를 예로 들더라도 어떤 교사는 학생이 “배우는 것을 정말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가 하면 어떤 교사는 “지식을 내면화 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또 “학습한 내용의 핵심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보는 교사도 있다. 이와 같은 말들이 모두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참고문헌

출처 : Bloom,B.S (1956). 교육목표분류학 (Ⅰ) 지적영역. 임의도외 역(1966) 서울: 培英社.
박승배(2001). 교육과정학의 이해. 서울: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