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

 1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
 2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2
 3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3
 4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4
 5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5
 6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6
 7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7
 8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8
 9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9
 10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0
 11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1
 12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2
 13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3
 14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4
 15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5
 16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6
 17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화장품 광고언어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주제 선정의 이유
1.3. 연구 방법

2. 본론
2.1. 신정보와 구정보

2.2. 광고에서의 정보 전달 양상
2.2.1. 의미전이
2.2.2. 수사법
2.2.3. 생략법

2.3. 심화조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TV화장품광고에 나타나는 언어적인 기법의 종류와 그 효과를 알아보고, 광고와 광고를 접하는 사람 사이에서 각각의 언어기법이 일으키는 의미작용의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1.2. 주제 선정의 이유
ㄱ. TV광고로 선정한 이유
광고에는 TV광고, 라디오광고, 신문이나 잡지 등을 통한 지면광고, 게시광고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TV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매체이다. 또한, TV광고는 문자언어와 소리언어, 영상을 통해 제시되는 상황의 복합체로 분석할 수 있는 언어대상이 다양하고, 다양한 의미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
ㄴ. 화장품 광고를 선정한 이유
화장품이라는 광고 대상의 특성상 호소(appeal)대상이 분명하여, 수신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기법의 특징과 효과가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기대하여 화장품 광고를 선정하였다. 또한, 호소대상이 아닌 수신인에게 광고 언어가 일으키는 의미작용 또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 방법
TV광고언어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하는 여러 언어기법 중 대표적으로 의미전이의 기법과 수사법, 생략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효과를 기존의 TV화장품 광고를 적용하여 분석해 본다. 그 후 심화된 연구를 위해 각각의 언어기법이 잘 드러나는 광고언어를 직접 만들어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각각의 기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모색한다.


Ⅱ. 본론

1. 신정보와 구정보

화자가 의식 속에 있는 어떤 정보를 청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의사소통이라고 한다. 정보의 전달은 담화 상황에서 문장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화자는 정보가 효과적으로 청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문장을 구성하게 된다. 광고에서 사용되는 담화및 문장은 정보를 전달하려는 의도와, 정보 전달의 목적이 뚜렷한 언어다. 때문에 문장을 구성하는 전략도 분석하기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은 각각 서로 다른 정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장의 구성요소를 정보적 측면에서 본다면 신정보와 구정보로 나눌 수 있다. 신정보와 구정보의 판정은 화자가 발화하는 정보가 당시 청자의 의식 속에 존재했느냐 그렇지 않았느냐에 의해서 구분된다.
화자는 정보전달을 위해 말을 할 때 청자가 전혀 모르는 사실만을 나열해서는 안 된다. 청자가 의식하고 있는 지식을 토대로 하여 거기에다 새로운 지식을 보태는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청자가 예비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 때 청자의 예비지식을 구정보, 화자가 청자에게 새로이 보태는 지식을 신정보라고 한다. 또한 청자가 알고 있더라도 화자의 발화시에는 의식 속에 있지 않았다면 신정보이다. 화자는 청자가 구정보를 바탕으로 신정보를 알아들을 수 있도록 문장이나 담화를 구성해야 한다.
어떤 정보를 두고서 신정보 또는 구정보라고 말하는 것은 그 정보가 청자에게 있어서 신정보 또는 구정보라는 말이다. 그것은 청자의 의식 속에 그 지식이 있느냐 있지 않느냐에 따라서 정보를 분류하기 때문이다. 정보는 청자 중심의 정보이다. 그렇지만 그 정보가 청자의 의식 속에 있느냐 있지 않느냐에 대한 판단이나 추정은 화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청자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신정보 또는 구정보는 결국 화자의 판단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 논문
한중화장품TV광고언어의수사법비교연구, 왕봉정, 2011
텔레비전 광고 언어에 나타나는 생략 현상, 안병섭,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3.
광고 언어의 은유 유형과 특징, 히로다까시, 동서울대학, 2003.
화장품 광고에 나타나는 의미 전이 양상, 송민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3.

- 단행본
광고언어 연구, 박영준 외, 도서출판 박이정, 2003.
한국어 의미론, 박영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광고언어론, 박영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